부친·아들 명의 10여곳… 횡령액 5000억원 육박
김찬경 미래저축은행 회장이 충남 아산시 일대에 아버지와 아들 등의 명의로 10여건 200억여원 상당의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정연호기자 tpgod@seoul.co.kr
민주통합당의 4대 저축은행진상조사위원회가 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금융위원회를 방문한 가운데 박기춘(오른쪽) 원내 수석부대표가 김석동(왼쪽) 금융위원장에게 저축은행 사태와 관련, 금융당국의 감독 소홀에 대해 질타하고 있다.
정연호기자 tpgod@seoul.co.kr
정연호기자 tpgod@seoul.co.kr
김 회장의 땅은 산이나 밭이 많지만 개발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 회장의 땅 바로 옆에는 농지를 대지로 지목 변경해 아산시가 추진하는 교수촌(전원마을)이 들어선다. 이 땅의 평당 분양가는 대지가격인 20만원의 2배가 넘는 50만원이다. 미래저축은행의 영업정지만 없었다면 김 회장의 땅도 지목이 변경돼 개발될 수 있었다고 부동산 업자들은 전했다. 김 회장은 아버지 명의로 중요민속자료 제236호로 지정되어 있는 송악면 소재 의암민속마을에 11채의 고택을 소유하고 있다.
김 회장은 아름다운CC를 지난달 말 부산 소재 호텔을 운영하는 기업에 매각한 것으로 알려졌다. 골프장 매각 가격은 2000억원대로 알려졌으며 이 가운데 회원권 보증금 등을 제하고 나면 최소한 1000억원의 현금을 수중에 넣었을 것으로 보인다.
김 회장은 20여개의 차명회사를 총동원해 4000억원에 가까운 돈을 불법 대출받아 골프장을 마련하는 등 5000여억원의 불법자금을 마련한 혐의를 받고 있다.
한편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이날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저축)‘은행’이란 이름을 달면 안 된다. (상호신용)‘금고’란 이름으로 다시 와야 한다.”며 살아있는 저축은행에 예금인출 사태가 발생할 수 있어 당장 추진은 어렵다고 말했다. 상호신용금고에서 저축은행으로 이름이 바뀐 지 10년 만에 다시 금고로 이름이 바뀔 전망이다.
이경주·이성원기자
kdlrudwn@seoul.co.kr
2012-05-10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