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준비생 66% “채용 악영향”
‘아버지 정년 연장이 아들 일자리 뺏는다?’고령화 시대 해법으로 중장년층의 정년 연장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청년층에서는 정년 연장이 청년 일자리를 줄인다는 불만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일자리를 놓고 아버지와 아들의 세대 간 갈등이 커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7일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발표한 ‘청년 실업과 세대 간 일자리 갈등에 관한 인식 조사’ 결과도 이를 뒷받침한다. 경총 조사는 316개 기업의 인사 담당자와 전국 대학 취업 준비생 743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경총 조사에 따르면 기업의 54.4%와 취업 준비생의 66.4%가 ‘정년 연장, 재고용 등 고용 연장 조치가 채용과 취업에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답변했다.
취업 준비생 3명 중 2명은 고용 연장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반면 고용 연장 조치가 일자리 확대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비율은 기업이 12.7%, 취업 준비생이 16.4%였다.
또한 취업 준비생 69.1%는 특히 대기업·공공기관 등 ‘괜찮은 일자리’를 중심으로 세대 간 갈등이 빚어질 것이라고 응답했다.
세대 간 일자리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근속 연수에 비례하는 중고령자 고임금 체계 개선’(40.5%), ‘고용 형태 활용에 대한 규제 완화’(18.4%), ‘임금 근로 시간 조정 등을 통한 일자리 나누기 활용’(17.1%)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홍혜정기자 jukebox@seoul.co.kr
2012-05-08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