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최측근 ‘王차관’ 박영준 검찰 출두

MB 최측근 ‘王차관’ 박영준 검찰 출두

입력 2012-05-02 00:00
수정 2012-05-02 10: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서울 양재동 복합물류센터 파이시티 인허가 청탁 로비와 함께 거액을 수수한 의혹을 사고 있는 박영준(52) 전 지식경제부 차관이 2일 피내사자 신분으로 검찰에 소환됐다.

박 전 차관은 이날 오전 9시50분께 대검찰청사에 출석하며 심경을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모든 사안에 대해 검찰 조사에 성실히 임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돈을 받았느냐’는 질문에는 말 없이 고개를 저었고, ‘서울시 공무원에게 청탁 전화를 했는지’ 여부에 대해서도 “인정할 수 없다”며 혐의를 부인했다.

그동안 침묵으로 일관해 온 것에 대해서도 입을 뗐다. 그는 “이국철 (이국철 SLS 회장의 금품 향응 사건) 때도 보면 언론이 사실과 달리 보도한 게 많았다”며 “모든 사실 관계를 검찰에서 밝히겠다”고 말했다.

대검찰청 중앙수사부(검사장 최재경)는 박 전 차관을 상대로 파이시티의 인허가 로비 의혹과 관련해 청탁 명목으로 거액의 돈을 수수하고 부당한 압력을 행사했는지 여부 등을 조사할 계획이다. 박 전 차관은 이 사업의 시행사인 파이시티의 이정배(55) 전 대표로부터 청탁 로비와 함께 수억원을 수수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이 전 대표로부터 박 전 차관에게 2005년부터 수 차례에 걸쳐 2~3억원을 건넸다는 진술을 확보하고 정확한 액수와 경위, 대가성 여부, 사용처 등을 집중 추궁할 방침이다. 또 박 전 차관이 건설업체 사장인 브로커 이동율(60·구속)씨를 통해 100만원권 수표 20장을 받은 정황을 포착하고 사실관계를 확인할 예정이다.

검찰은 박 전 차관이 이 전 대표로부터 청탁 로비를 받은 뒤 2007년 강철원(48) 전 서울시 정무조정실장에 전화를 걸어 ‘파이시티 인허가 진척 상황을 알아봐 달라’는 진술을 확보함에 따라 인허가 과정에 부당한 압력을 행사했는지 여부도 조사할 계획이다.

다만 2008년 1월 아파트 분양권 매입대금 명목으로 건네받은 10억원은 이씨가 자신의 아들 2명의 전세자금 등으로 사용한 것으로 검찰은 파악하고 있다. 검찰은 이와 함께 박 전 차관이 이상득 의원과 친분이 있는 포항기업 제이엔테크의 이동조(59) 회장을 통해 ‘돈 세탁’을 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캐물을 예정이다.

특히 당시 박 전 차관이 이명박 대통령 후보 선거캠프 조직인 선진국민연대를 이끌었던 만큼 이 돈이 불법 대선자금으로 사용됐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수사를 진행할 방침이다. 찰은 이와 관련해 이 회장의 동생인 제이엔테크 이동업(49) 대표와 회사 관계자들을 불러 조사했으며, 필요할 경우 중국에 머물고 있는 이 회장도 소환 조사할 계획이다.

동시에 지난달 30일 중국에서 귀국한 강 전 실장을 곧바로 소환했으며, 파이시티 인허가 과정에 개입하거나 이 업무를 담당했던 서울시 도시계획국 관계자 등에 대한 조사도 병행하고 있다. 검찰은 박 전 차관을 한 차례 정도 더 조사한 뒤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 혐의 등으로 사전구속영장을 청구할 방침이다. 포괄적 뇌물수수죄나 금융거래법 위반 혐의 적용 여부도 검토할 계획이다.

뉴시스

“전역하면 끝?”… 김규남 서울시의원 발의, 서울시 첫 제대군인 감면 조례 통과

김규남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송파1)은 9일 제대군인에 대한 공공시설 이용료 감면 혜택을 규정한 조례 개정안을 잇따라 통과시켰다고 밝혔다. 이번 조례 시행으로 서울시는 전국 최초로 중기복무 제대군인에게도 문화·체육시설 감면 혜택을 제공하는 지자체가 됐다. 그동안 국가를 위해 헌신한 제대군인에 대한 서울시 차원의 실질적 예우는 부족한 상황이었다. 특히 장기복무(10년 이상) 제대군인뿐만 아니라 중기복무(5~10년) 제대군인은 제도적 사각지대에 놓여 있었다. 김 의원은 이러한 현실을 “전역하면 끝”이라는 표현으로 비판하며, 제도적 보완을 촉구해왔다. 김 의원은 제328회 임시회 시정질문을 통해 오세훈 서울시장에게 “군 복무를 마친 청년들에게도 서울시 차원의 실질적 예우가 필요하다”라고 질의했고, 이후 시와의 협의를 거쳐 장기복무 뿐만 아니라 중기복무 제대군인까지 포함하는 조례 개정을 이끌어냈다. 이번에 통과된 조례는 ▲서울특별시립박물관 관리 및 운영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서울특별시립미술관 관리 및 운영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서울특별시립체육시설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등이다. 해당 조례들은 모두 중·장기복무 제대군인을 감면 대상에 명시했다.
thumbnail - “전역하면 끝?”… 김규남 서울시의원 발의, 서울시 첫 제대군인 감면 조례 통과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