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준 2일 소환…李-李-李 ‘자금세탁’ 규명 주력

박영준 2일 소환…李-李-李 ‘자금세탁’ 규명 주력

입력 2012-05-01 00:00
수정 2012-05-01 12: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
’왕차관’으로 불린 이명박 정부의 실세, 박영준 전 국무총리실 국무차장이 피내사자 신분으로 2일 검찰에 소환된다.

파이시티 인허가 로비 사건을 수사하고 있는 대검찰청 중앙수사부(부장 최재경 검사장)가 박 전 차장의 소환을 앞둔 1일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는 부분은 박 전 차장 주변의 수상한 자금 흐름이다.

검찰은 박 전 차장이 ‘자금 세탁처’로 지목된 측근을 통해 파이시티 측으로부터 인허가 청탁 명목으로 돈을 받아챙겼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검찰은 이정배(55) 전 파이시티 대표로부터 지난 2008년 1월 박 전 차장에게 아파트 구입비 명목으로 10억원을 건넸고, 그 이전에도 3, 4차례에 걸쳐 3억원 가량을 줬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또 파이시티가 발행한 수표 수천만원이 측근인 포항 기업인 이동조 제이엔테크 회장이 관리하던 계좌로 흘러들어간 사실도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돈 전달자로 지목된 브로커 이동율(61) 씨는 검찰의 집중 추궁에 “박 전 차장이 이 회장을 소개해줘 박 전 차장에게 건넬 돈을 입금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박 전 차장이 받은 돈이 인허가 청탁과 서울시 관계자들과의 사업설명회를 주선해주는 대가였다고 보고 있다.

이와 관련해 검찰은 박 전 차장으로부터 지난 2007년 파이시티 인허가 진척 상황을 확인해 달라는 전화를 받은 강철원 전 서울시 정무조정실장을 전날 밤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했다.

검찰은 박 전 차장을 소환해 받은 돈의 성격과 대가성 여부에 대해 집중 추궁할 계획이다.

검찰은 조사를 마친 뒤 특정범죄가중처벌법의 알선수재 혐의를 적용해 박 전 차장에게 사전 구속영장을 청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파이시티로부터 인허가 청탁 명목으로 8억원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는 최시중(75) 전 방송통신위원장은 전날 구속 수감됐다.

노컷뉴스

※위 기사는 기사콘텐츠 교류 제휴매체인 노컷뉴스의 기사입니다. 이 기사에 관한 모든 법적인 권한과 책임은 노컷뉴스에 있습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13일 서울글로벌센터빌딩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출범식에는 오세훈 서울시장,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임춘대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장, 주한 카타르 대사 등 각국 외교관과 홍콩투자청 등 해외 투자 기관 관계자 및 자본가들이 참석해 서울투자진흥재단의 성공적인 출발을 기원했다. 김 의원은 재단의 출범을 위한 준비위원회에서 활동했던 경험을 회상하며 “공식 기관 명칭이 ‘서울투자청’이었으면 좋았겠지만, 오늘 출범하게 되어 감회가 새롭다”라며 소회를 밝혔다. 그는 세계 도시 경쟁력 6위인 서울의 잠재력을 언급하며 “서울투자진흥재단이 세계가 서울로 향하는 길에 든든한 길잡이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김 의원은 재단이 이사장 이하 구성원들의 풍부한 경험과 인베스트서울의 선험적 경험을 바탕으로 K-금융과 K-뷰티 산업의 글로벌 투자 유치 플랫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실질적인 성과물을 만들어낼 것을 강조했다. 한편, 김 의원은 재단 고위 관계자로부터 재단의 오늘이 있기까지 그간의 김 의원 역할에 감사를 표한다는 전언을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