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만채 전남도교육감이 25일 전격 구속되면서 전남교육계가 큰 충격에 빠졌다.
실용주의를 주창하면서 낙후된 전남교육의 새로운 부흥을 추진했던 장 교육감의 구속에 따라 전남교육의 개혁이 물 건너 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장 교육감의 구속은 지난 2001년 10월 전남교육정보화사업과 관련해 업자로부터 뇌물을 받은 혐의로 구속된 정영진 전 교육감에 이어 11년 만에 터진 것이어서 그 후폭풍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더구나 민선 직선 초대 교육감으로 2년을 채 넘기지 못한 상황에서 사법처리는 그 충격파의 정도가 심각하다.
광주지검 순천지청은 이날 뇌물수수와 업무상 횡령, 배임 등의 혐의로 장 교육감을 구속, 수감했다.
장 교육감은 주민 직선 초대 교육감 취임 이후 21개월만에 불명예 사건으로 구속 수감됐다.
장 교육감이 불명예 사건으로 구속됨에 따라 전남교육청 등 교육현장에서는 충격과 함께 우려의 목소리가 적지 않다.
장 교육감은 취임 이후 낙후된 농어촌 교육 경쟁력 제고를 위해 행정력을 집중해왔다.
교과부로부터 최대의 역작으로 평가받은 거점고 육성사업과 선상 무지개학교, 전남형 혁신학교 등의 차질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장 교육감 특유의 추진력으로 진행해왔던 거점고 육성은 우선 추진 동력에서 상당한 힘을 잃을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공청회와 지역 주민설명회 등을 거쳐 첫 실행단계를 앞두고 터진 악재로 본궤도에 오르게 전에 추락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파격적인 교직원 인사제도안이나 무지개 선상학교와 혁신학교 등은 일정부분 제동이 걸릴 우려가 높다.
전교조의 지지를 받아 당선됐지만 일제고사와 교원평가제 실시 등 이른바 진보교육감과는 다른 행보를 보였던 장 교육감의 부재는 전남교육 추진에 적지 않은 손실이다는 평가가 주를 이루고 있다.
학생중심과 실력향상 등에 교육행정의 방점을 뒀던 장 교육감의 부재에 따른 전남교육계의 혼란도 상당기간 불가피할 전망이다.
김원찬 교육감 권한대행이 기존 교육정책의 기조를 일정 부분 유지한다 하더라도 권한 대행으로서 그 추진 동력은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이번 사건은 기존 교육계의 전형인 뇌물사건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전교조 등이 주축이 된 전남교육희망연대 등 일부 교육단체는 이번 사건이 특정 교육감의 흠집내기에 기인한 수사라고 주장하며 이번 수사의 의미를 축소하고 있다.
시민단체의 한 관계자는 “고교 동창이 공직에서 한 눈 팔지 말고 열심히 하라는 의미에서 건네준 신용카드를 뇌물로 처벌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런 분위기를 반영하듯 전남도교육청도 이례적으로 성명을 내고 검찰의 “무리한 수사가 도를 넘고 있다. 유감과 안타까움을 지울 수 없다”며 “검찰의 무리한 행보가 교육 새 바람을 바라는 전남도민의 숙원을 꺾지 않기를 바란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취임 직전 일부 교직원들이 이른바 당선 축하금을 전달하려던 사실을 폭로하는 등 청렴성을 강조했던 장 교육감이 뇌물혐의로 구속됨에 따라 도덕성 실추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연합뉴스
실용주의를 주창하면서 낙후된 전남교육의 새로운 부흥을 추진했던 장 교육감의 구속에 따라 전남교육의 개혁이 물 건너 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장 교육감의 구속은 지난 2001년 10월 전남교육정보화사업과 관련해 업자로부터 뇌물을 받은 혐의로 구속된 정영진 전 교육감에 이어 11년 만에 터진 것이어서 그 후폭풍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더구나 민선 직선 초대 교육감으로 2년을 채 넘기지 못한 상황에서 사법처리는 그 충격파의 정도가 심각하다.
광주지검 순천지청은 이날 뇌물수수와 업무상 횡령, 배임 등의 혐의로 장 교육감을 구속, 수감했다.
장 교육감은 주민 직선 초대 교육감 취임 이후 21개월만에 불명예 사건으로 구속 수감됐다.
장 교육감이 불명예 사건으로 구속됨에 따라 전남교육청 등 교육현장에서는 충격과 함께 우려의 목소리가 적지 않다.
장 교육감은 취임 이후 낙후된 농어촌 교육 경쟁력 제고를 위해 행정력을 집중해왔다.
교과부로부터 최대의 역작으로 평가받은 거점고 육성사업과 선상 무지개학교, 전남형 혁신학교 등의 차질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장 교육감 특유의 추진력으로 진행해왔던 거점고 육성은 우선 추진 동력에서 상당한 힘을 잃을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공청회와 지역 주민설명회 등을 거쳐 첫 실행단계를 앞두고 터진 악재로 본궤도에 오르게 전에 추락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파격적인 교직원 인사제도안이나 무지개 선상학교와 혁신학교 등은 일정부분 제동이 걸릴 우려가 높다.
전교조의 지지를 받아 당선됐지만 일제고사와 교원평가제 실시 등 이른바 진보교육감과는 다른 행보를 보였던 장 교육감의 부재는 전남교육 추진에 적지 않은 손실이다는 평가가 주를 이루고 있다.
학생중심과 실력향상 등에 교육행정의 방점을 뒀던 장 교육감의 부재에 따른 전남교육계의 혼란도 상당기간 불가피할 전망이다.
김원찬 교육감 권한대행이 기존 교육정책의 기조를 일정 부분 유지한다 하더라도 권한 대행으로서 그 추진 동력은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이번 사건은 기존 교육계의 전형인 뇌물사건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전교조 등이 주축이 된 전남교육희망연대 등 일부 교육단체는 이번 사건이 특정 교육감의 흠집내기에 기인한 수사라고 주장하며 이번 수사의 의미를 축소하고 있다.
시민단체의 한 관계자는 “고교 동창이 공직에서 한 눈 팔지 말고 열심히 하라는 의미에서 건네준 신용카드를 뇌물로 처벌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런 분위기를 반영하듯 전남도교육청도 이례적으로 성명을 내고 검찰의 “무리한 수사가 도를 넘고 있다. 유감과 안타까움을 지울 수 없다”며 “검찰의 무리한 행보가 교육 새 바람을 바라는 전남도민의 숙원을 꺾지 않기를 바란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취임 직전 일부 교직원들이 이른바 당선 축하금을 전달하려던 사실을 폭로하는 등 청렴성을 강조했던 장 교육감이 뇌물혐의로 구속됨에 따라 도덕성 실추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