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뮬레이션 시행한 이윤석 교수… “다시 해도 문제없다”
제주 해군기지에 대한 논란의 핵심은 민·군복합항으로 건설 중인 기지에 15만t급 크루즈선의 자유로운 입·출항이 가능한지 여부다. 국방부는 “선박 조종 시뮬레이션 결과 문제가 없다.”는 입장인 반면, 제주도는 “문제가 있다.”며 재검증을 요구하고 있다.
한국해양대 이윤석 교수
●“제주도 TF에는 시뮬레이션 전문가 없다”
이 교수는 “제주도 태스크포스(TF)에는 선박 조종 시뮬레이션 전문가가 없는 것으로 안다.”며 제주도의 문제제기에 대해 반박했다. 그는 “이 분야 국내 전문가는 15명 안팎이다. 한국해양대, 목포해양대, 한국해양연구원, 한국해양수산연구원 등 4곳에서만 과제 수행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사회적인 논란을 고려해 선박의 안전운항 등에 대해 일반 시뮬레이션보다 엄격한 잣대로 과제를 수행했다. 이 과정에서 국방부의 요구 등은 전혀 없었고, 공정하고 객관적인 검증을 벌였다.”고 덧붙였다.
●“두 배 많은 도선사 참여… 결과 조작 불가능”
이 교수는 검증 방식에 대해 “실제로 제주 해군기지와 같은 환경을 만들어 놓고 도선사들이 15만t급 크루즈선을 조종해 보는 방식으로 했다. 스크린 골프와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평소보다 두 배 많은 6명의 도선사가 참여했다.”며 “선박 조종기술은 국제적으로 표준화돼 있어 특정 결론을 세워 두고 시뮬레이션 결과를 조작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끝으로 그는 시뮬레이션을 다시 해도 달라질 변수는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 교수는 “15만t급 크루즈선의 성능은 거의 유사하기 때문에 환경 변수가 같아 다시 해도 동일한 결론이 나올 수밖에 없다.”면서 “공정성과 객관성 확보를 위해 한국해양연구원 등 전문기관 4곳의 전문가를 자문위원으로 위촉해 과제를 수행했다.”고 말했다.
제주 황경근기자 kkhwang@seoul.co.kr
2012-03-10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