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학자 백영민 박사 카이스트 교수로 임용
학부부터 석·박사 과정까지 언론학만을 전공한 30대의 젊은 언론학자가 쟁쟁한 이공계 경쟁자들을 물리치고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 교수로 임용됐다. 카이스트는 백영민(35) 교수를 웹사이언스공학전공 조교수로 임명했다고 8일 밝혔다. 인문학 분야 전공자를 이공계 전공 교수로 채용한 사례는 카이스트 40년 역사에서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카이스트 측은 학문 간 융합을 통해 창의적 인재를 육성하려는 시도라고 밝혔다.
●“웹사이언스로 이 시대 모습 다층적 조명”
카이스트의 백 교수 임용은 그가 웹 커뮤니케이션의 사회·기술적 측면을 아우르는 융합교육에 적합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백 교수는 언론학을 전공하면서 웹에서 커뮤니케이션이 어떻게 이뤄지는지 연구하던 중 기술적인 측면에 관심을 갖게 됐다. 박사학위 논문에서는 ‘소집단에서의 온라인 토론이 온라인 네트워킹과 여론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했다. 백 교수는 “웹사이언스는 웹을 통해 사람이라는 존재를 알아가는 흥미로운 학문”이라면서 “웹에서 사람들이 소통하는 방식을 다양한 시각으로 연구해 이 시대의 모습을 다층적으로 조명하고 싶다.”고 소감을 밝혔다. 웹사이언스공학은 웹을 학문적 대상으로 보고 웹 인프라, 웹 소프트웨어 등으로 웹을 통한 산업·인간 생활의 진화에 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
맹성현 웹사이언스공학전공 책임교수는 “백 교수는 웹을 공학적인 측면에서뿐 아니라 사회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각으로 분석해내는 능력을 가졌다.”면서 “전산학 등 다양한 분야 전공자들과 교류하면서 혁신적인 연구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다양한 분야 전공자들과 교류하며 연구
백 교수는 연세대에서 신문방송학을 전공한 뒤 서울대와 미국 아이오와 주립대에서 언론학 석사, 지난해 미국 펜실베이니아대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그는 세계 최대 언론학술단체인 세계언론학회(ICA)와 미국언론학회(NCA) 등 커뮤니케이션 분야 세계 3대 학회 가운데 2곳에서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윤샘이나기자 sam@seoul.co.kr
2012-02-09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