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나이 빈부격차 왜 날까

사망나이 빈부격차 왜 날까

입력 2012-01-31 00:00
수정 2012-01-31 09: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고착화 조짐이 보이는 수명 양극화 문제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승권 박사팀과 분석했다.

부촌의 주민이 빈촌보다 평균적으로 오래사는 이유를 한두 가지로 한정하긴 어렵다.

인간의 수명은 사회적, 환경적, 신체적 요인 등 여러 조건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하지만 서울과 같이 인구가 밀집하고 주거비용의 편차가 큰 대도시는 경제적 빈부가 이런 요인을 결정하는 지배적인 변수로 작용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한국 사회의 빈부격차가 심해지고 구조화하면서 부자가 사는 곳은 안락하고 쾌적한 지역이 됐고 가난한 이들은 부동산 비용이 싸지만 상대적으로 비위생적이고 위험한 지역에 살 수밖에 없게 됐다는 것이다.

부유층은 경제적 여유를 바탕으로 정서적으로 안정되고 충분히 자신의 건강을 돌보며 질병을 예방·치료할 수 있지만 ‘먹고 살기 바쁜’ 저소득층은 강력한 사회 안전망이 없다면 그렇지 못한 것은 불 보듯 뻔하다.

이처럼 빈부의 양극화가 단순히 경제적 상황에만 그치지 않고 여기서 비롯된 다양한 인자가 수십년간 축적되면서 사망나이까지 차이가 발생하는 결과를 낳았다는 분석이다.

서울 부촌 15개동의 평균 사망나이가 빈촌보다 높은 것은 80세 이상 고령자의 사망비중이 높아서다.

2006∼2010년 서울시의 20세 이상 성인 사망자의 연령대별 비율을 보면 80세 이상 사망자가 전체의 31.1%였지만 부촌은 46.8%로 15.7%포인트가 높았다.

대신 50∼60대 사망자의 비율은 서울시가 31.0%였지만 부촌은 21.7%였다.

부촌은 서울시 평균보다 80세를 넘기는 사람이 많은 대신 50∼60대에 죽는 비율이 낮은 셈이다.

김승권 박사는 “부촌의 사망자 중 80세 이상 비율이 높은 것은 이들이 경제적 여유를 바탕으로 질병을 미리 발견하고 치료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노년층에 접어드는 50∼60대의 주요 사망원인은 질병인데 부유층은 의료비를 충분히 쓸 수 있어 예방과 치료로 생명의 ‘첫 고비’를 넘겨 80세이상 사는 셈이다.

평균 사망나이가 가장 높은 잠실7동 관계자는 “이 곳 주민은 부유층이 대부분이다 보니 젊었을 때부터 건강관리를 잘하고 노년층도 여행, 예술 모임과 같은 정서적으로 풍부한 여생을 보낸다”며 “스스로 관리할 수 있는 주민들이어서 구립 경로당도 한적할 정도”라고 말했다.

빈촌은 서울시의 연령대별 사망자 비율과 거의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부촌은 또 자연발생적인 동네가 아니라 계획된 곳이었다.

부촌 중 평균 사망나이 1위인 잠실7동은 서울 시내에서도 고가로 꼽히는 아시아선수촌아파트와 우성아파트의 주민이 산다. 이곳은 86년 아시안게임과 88년 올림픽을 앞두고 외국인에게 한국의 발전상을 선보이려고 시범적으로 조성됐다.

2위인 잠실2동 역시 옛 잠실주공2단지가 재개발돼 고가 아파트촌이 된 엘스와 리센츠 아파트 단지다. 모두 아파트 거주비율이 거의 100%인 곳이다.

아파트 단지는 소방도로가 확보돼 응급환자가 생기면 구급차가 가깝게 접근할 수 있고 ‘00아파트 0동 000호’ 식으로 주소가 명확해 구급요원이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문가들이 60대 이상 노년층의 생명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는 것이 응급시 신속한 구조 여부다.

또 잠실7동과 잠실2동 모두 서울 시내 공원 가운데 수준급으로 꼽히는 아시아공원과 한강시민공원과 인접해 분위기가 쾌적하고 안정된 전형적인 주택가라는 특징이 있었다.

빈촌 15개동 가운데 평균 사망나이가 가장 낮은 2개 동은 이들과 전혀 상황이 딴판이었다.

각각 중구 A동과 용산구 B동은 ‘쪽방촌’으로 불리는 저소득층 밀집지역을 포함한 곳이다.

B동 주민센터 관계자는 “이미 병이 있는 빈곤층이 마지막으로 의지하는 곳이 쪽방촌”이라며 “이들의 사망나이는 60대 안팎으로 낮은 편인데 이 때문에 사망나이의 평균치가 내려가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게다가 저소득층일수록 음주, 흡연, 불균형적인 영양섭취 등과 같은 건강에 해로운 행태를 많이 보인다는 게 관련 학계의 분석이다.

김 박사는 “빈촌의 사망률이 부촌의 2배인 것은 저소득층은 태아때부터 성인이 될 때까지 장수에 불리한 여건을 가질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라며 “건강한 부모, 성장기의 영양상태, 성인 시기의 질병예방과 충분한 휴식이 결핍하면 사망률이 높아진다”고 말했다.

지형적으로도 응급환자가 발생할 경우 대처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서울중부소방서 관계자는 “골목이 좁고 구불구불한데다 가파르기 때문에 구급차를 바로 댈 수 없어 들것으로 옮겨야 한다”며 “시내 중심부여서 교통이 복잡해 현장에 가는 시간도 많이 걸리고 2㎞에 불과한 인근 대형병원으로 이송하는 시간도 길이 막히면 대중없다”고 설명했다.

두 곳은 서울 시내 한가운데인 탓에 주변 교통량이 많고, 주택과 심야까지 영업하는 식당과 숙박업소가 뒤얽혀 밤낮으로 어수선한 지역이다.

도로에 인접한 재개발 지구엔 동네 분위기와 어울리지 않는 거대한 사무용 빌딩이 공사 중이어서 불안감을 더했다.

이런 환경은 주민의 정서적 안정감을 지속적으로 해치는 스트레스로 작용한다.

연합뉴스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13일 서울글로벌센터빌딩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출범식에는 오세훈 서울시장,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임춘대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장, 주한 카타르 대사 등 각국 외교관과 홍콩투자청 등 해외 투자 기관 관계자 및 자본가들이 참석해 서울투자진흥재단의 성공적인 출발을 기원했다. 김 의원은 재단의 출범을 위한 준비위원회에서 활동했던 경험을 회상하며 “공식 기관 명칭이 ‘서울투자청’이었으면 좋았겠지만, 오늘 출범하게 되어 감회가 새롭다”라며 소회를 밝혔다. 그는 세계 도시 경쟁력 6위인 서울의 잠재력을 언급하며 “서울투자진흥재단이 세계가 서울로 향하는 길에 든든한 길잡이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김 의원은 재단이 이사장 이하 구성원들의 풍부한 경험과 인베스트서울의 선험적 경험을 바탕으로 K-금융과 K-뷰티 산업의 글로벌 투자 유치 플랫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실질적인 성과물을 만들어낼 것을 강조했다. 한편, 김 의원은 재단 고위 관계자로부터 재단의 오늘이 있기까지 그간의 김 의원 역할에 감사를 표한다는 전언을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