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가니’ 황동혁 감독 인터뷰
영화 ‘도가니’가 국민들의 공분은 물론 경찰 재수사를 이끌어내는 등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이 작품은 상업영화로는 어둡고 불편한 내용을 담고 있어 투자를 받기가 쉽지 않았고, 흥행을 점치는 이도 크게 많지 않았다. 하지만 이슈와 흥행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으며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연출을 맡은 황동혁(40) 감독을 29일 전화로 인터뷰했다.
연합뉴스
‘도가니’ 황동혁 감독
연합뉴스
연합뉴스
→영화 반응이 폭발적이다.
-전혀 예상을 못해 얼떨떨하다. 이렇게까지 큰 관심을 보일 줄 몰랐다. 아동 성폭행은 물론 법조계나 공무원, 경찰 비리 등 우리가 뉴스에서 늘상 보고 듣던 사건인데, 영화에서 이 모든 것이 한꺼번에 보여지니까 많은 사람들이 분노한 것 같다. 특히 이 사건이 실제로 일어났고, 피해자가 장애 아동이었다는 점이 더 분노하게 만든 것 같다.
→연출할 때 선정성과 사실성 사이에서 고민이 많이 됐을 것 같다.
-원작자인 공지영 작가가 너무 끔찍하고 추잡한 일이 많아 소설에서 실제 사건의 절반도 다 쓰지 못했다고 했다. 영화로 만들기에는 소설의 내용도 너무 세서 그나마 3분의1 정도밖에 묘사하지 못했다. 누군가를 분노하게 하고 자극하려고 만든 영화가 아니다. 이런 일이 불과 몇년 전에 우리 사회의 무관심 속에서 일어났다는 것을 알리고 싶었다.
→그럼에도 경찰이 재수사에 나서는 등 파장이 엄청나다.
-누군가를 선동하려고 만든 영화가 아닌데 너무 갑작스러운 반응에 솔직히 좀 당황스럽다. 이 사건은 일사부재리의 원칙 때문에 다시 재판정에 올라가진 못한다. 그러나 아직 대책위원회가 있으니 영화를 통해 아직 뭔가 풀리지 않은 것들이 해결되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 영화가 인권 사각지대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인 만큼 마녀사냥이나 신상털기 같은 일시적인 분노보다는 장기적으로 이런 사건의 재발을 막기 위한 제도적이고 법적인 대책을 마련하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
→성폭행 묘사 장면에서 아역 배우들의 후유증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있는데.
-아역 배우들의 감정 이입을 방지하고, 관련 장면은 최대한 단순하게 연출했다. 아이들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카메라 각도 등 촬영 트릭을 이용해 분위기만 극대화하려고 했다. 오디션 때는 물론 촬영도 부모 입회 아래 진행했다. 성추행 등 불가피한 장면은 체구가 작은 성인 남성 배우를 썼다. 아역 배우들은 무대 인사를 함께 다닐 정도로 모두 잘 지내고 있다.
→재편집을 통해 19세 관람 등급을 15세로 낮추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는데.
-사건 자체가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일어난 일이고, 단순히 장애 아동 성폭행 문제가 아니라 21세기 한국 사회의 구조적인 모순과 비리를 다룬 영화이기 때문에 교육적인 측면도 있다고 생각한다. 때문에 성폭행 등 일부 구체적인 묘사를 잘라낸다면, 청소년들도 충분히 함께 보고 이야기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은주기자 erin@seoul.co.kr
2011-09-3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