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노마트 2008년 안전점검서 ‘B등급’ 판정

테크노마트 2008년 안전점검서 ‘B등급’ 판정

입력 2011-07-05 00:00
수정 2011-07-05 15: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광진구 정밀안전진단서 ‘이상무’ 등급 받아

5일 건물이 위 아래로 흔들려 퇴거명령이 내려진 서울 광진구 테크노마트 건물은 가장 최근의 안전 점검에서 “이상이 없다”는 판정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광진구에 따르면 지난 1998년 39층 규모로 지어진 테크노마트 프라임센터 건물은 10년 뒤 처음으로 이뤄진 정밀안전진단에서 B등급으로 판정받았다.

시설물의안전관리에관한특별법상 A등급부터 C등급까지는 해당 건물의 안전에 문제가 없다는 뜻이다.

퇴거 명령이 가능한 D등급은 보수ㆍ보강을 하면 다시 사용할 수 있는 건물에 주어지며 즉시 강제 퇴거해야 할 정도로 안전하지 못한 건물에는 E등급이 매겨진다.

구 관계자는 “안전상 A등급과 B등급의 차이는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벽에 균열이 있는 등 약간의 하자가 있을 때 B등급이 주어진다”고 설명했다.

시특법상 신축 건물의 건물주는 지어진 지 10년이 지난 뒤 1년 안에 외부 전문가에 의뢰해 정밀안전진단을 받아야 한다. 테크노마트 건물의 정밀안전진단을 맡은 회사는 고려구조ENG였다.

엑스레이나 테스팅 해머 등의 장비가 동원되는 정밀안전진단 외에 매년 2차례 육안으로만 상태를 점검하는 정기점검에서도 테크노마트 건물은 안전에 전혀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정받았다. 최근 정기점검은 올해 3월에 있었다.

서울시 관계자는 “현장에서 원인을 파악하고 있다. 전문가의 의견을 들어봐야겠지만 아직까지는 과거 삼풍백화점과 같은 사태가 날 것 같지는 않다”고 말했다.

이날 오전 10시10분부터 약 10분간 테크노마트 건물의 중ㆍ고층부가 상하로 흔들려 이 건물의 입주자 약 500명이 대피하는 소동이 벌어졌다.

이영실 서울시의원 “서울대공원, 카카오 주차장 감사원 지적에도 ‘수수방관’”

서울대공원의 대형 주차장 운영 방식을 둘러싼 특정 사업자 특혜 논란이 다시 불거졌다.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이영실 의원(더불어민주당, 중랑1)은 지난 6일 2025년도 서울대공원 행정사무감사에서, 내년 8월 만료되는 대형 주차장 운영 계약을 둘러싼 감사원 지적 사항 미이행 문제를 집중 제기했다. 감사원이 ‘사용 수익허가’ 방식의 부적절성을 명확히 지적하고 ‘관리 위탁’ 방식으로 전환하라고 권고했음에도, 서울대공원은 이를 무시한 채 제자리걸음을 해왔다는 지적이다. 이 의원은 “주차장의 계약 만료가 임박했는데 감사 결과도 모르고 나왔느냐”며 질타했지만, 서울대공원장은 “공유재산법 절차에 따르겠다”며 원론적 답변만 반복했고, 감사 내용조차 “정확히 파악하지 못했다”고 답해 논란을 키웠다. 이 의원이 공개한 감사원 보고서에는 “주차장 부지 사용수익허가 방식이 아닌, 관리 위탁 방식으로 운영자를 선정해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 공유재산의 적정한 관리와 공정한 경쟁 확보 측면에서 현행 방식은 위법 소지가 크다고 판단한다. 이 의원은 서울대공원의 미흡한 대응에 대비해 법률 자문을 의뢰했고 “사용수익허가 만료 후 동일 사업자에 대한 재허가 의무는 없다”고 해석했다
thumbnail - 이영실 서울시의원 “서울대공원, 카카오 주차장 감사원 지적에도 ‘수수방관’”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