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대중교통 개편 7년…이용ㆍ만족도 ‘쑥’

서울 대중교통 개편 7년…이용ㆍ만족도 ‘쑥’

입력 2011-06-30 00:00
수정 2011-06-30 11: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하루평균 이용건수 120만5천건↑, 만족도 25.3%↑

#서울시 관악구 보라매동에 사는 이미선 씨는 서대문구 남가좌동으로 출근한다. 회사에 가려면 5538번을 타고 봉천역에 내려 지하철 2호선을 타고 합정역에서 내린 뒤 7612번 지선버스로 다시 갈아타야 한다. 이렇게 여러 번 갈아타도 출근할 때 드는 요금은 모두 1천100원이다. 또 지하철에서 내리기 직전에 휴대전화로 미리 7612번 버스 도착 시각을 검색해보고 내리기 때문에 정류소에서 버스를 무작정 기다릴 일도 없다.

새달 1일은 서울시가 공급자 중심의 대중교통 체계를 시민 편의 위주로 개편하기 시작한 지 7년째 되는 날이다.

서울시는 2004년부터 본격화한 서울의 대중교통 체계 개편 사례를 소개하면서 7년 사이 대중교통 이용건수가 하루 평균 120만5천건 늘고, 시민 만족도도 2006년 대비 25.3% 올랐다고 30일 밝혔다.

대중교통 하루평균 이용건수가 체계 개편 첫해인 2004년 934만9천건에서 2010년 1천55만4천으로 증가했고 서비스 만족도 점수도 2006년 59.2점에서 2010년 74.16점으로 높아졌다는 것이다.

서울시는 2004년 7월1일 버스 준공영제를 도입해 취약지역까지 버스 노선을 확대, 대중교통 접근성을 높였다.

같은 날 시작된 환승 통합요금제는 2007년 경기버스, 2008년 서울ㆍ경기 광역버스, 2010년 인천버스로 확대됐다.

수도권 환승 통합요금제도로 서울뿐 아니라 수도권 전역을 출퇴근하며 오가는 모든 시민이 요금 할인 혜택을 보고 있다.

2003년 도입된 중앙버스전용차로는 현재 총 100.4km 구간으로 확대돼 버스 통행속도를 평균 시속 4km정도 앞당겼고, 흩어졌던 버스정류소를 한곳으로 모은 버스환승센터는 2005년 청량리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총 5곳에 조성돼 지체되던 주변 교통흐름을 개선했다.

첨단정보기술(IT)을 활용해 2007년부터 본격적으로 제공된 버스 도착예정시간 등 BIS(Bus Information System) 정보 서비스는 2010년 기준으로 하루 평균 약 46만명이 이용하고 있다. 이 중 스마트폰을 통해 정보를 이용하는 시민은 20만명에 달한다.

<표> 대중교통 체계 개편 내용

┌───────┬──────┬──────────────┬───────┐

│ │ 도입시기 │ 내용 │ 효과 │

├───────┼──────┼──────────────┼───────┤

│버스 준공영제 │ 2004. 7. 1 │ ‘04년 개편 당시 취약지역 │대중교통 사각 │

│ │ │ 버스 신규노선 94개 신설 │ 지대 해소 │

├───────┼──────┼──────────────┼───────┤

│수도권 통합환 │ 2004. 7. 1 │ 적용대상 서울버스와 수도권 │시민 대중교통 │

│ 승요금제 │ │전철(‘04년)→경기버스(’07 │이용요금 할인 │

│ │ │ 년)→서울ㆍ경기광역버스 │ 혜택(최대4회 │

│ │ │ (‘08년)→인천버스(’10년) │ 환승할인) │

│ │ │ 로 확대‘수도권 통합환승시 │ │

│ │ │ 대’열어 │ │

├───────┼──────┼──────────────┼───────┤

│중앙버스전용차│ 2003 │ 도봉ㆍ미아로ㆍ수색ㆍ성산로 │버스 통행속도 │

│ 로 │ │ ㆍ강남대로ㆍ경인로ㆍ시흥ㆍ │평균 4km/h 향 │

│ │ │ 대방로ㆍ한강로ㆍ마포로ㆍ송 │ 상 │

│ │ │ 파대로ㆍ노량진로ㆍ신반포로 │ │

│ │ │ ㆍ동작대로ㆍ양화ㆍ신촌로ㆍ │ │

│ │ │ 공항로ㆍ통일ㆍ의주로 등 총 │ │

│ │ │ 100.4km 구축 │ │

├───────┼──────┼──────────────┼───────┤

│ 버스환승센터 │ 2005. 7 │ 청량리ㆍ여의도ㆍ구로버스환 │주변 교통지체 │

│ │ │승센터 준공(‘05년)강변ㆍ서 │도개통전 70~90│

│ │ │울역 2곳 추가해 현재 5곳 조 │초/대→개통후 │

│ │ │ 성 │ 31~38초/대 │

├───────┼──────┼──────────────┼───────┤

│BIS 정보 서비 │ │ 정류소단말기, ARS, 인터넷, │- 버스 정시성 │

│ 스 │ 2005 │모바일, PDA, 스마트폰, QR코 │확보- 시민 이 │

│ │ │드 통해 버스 현재위치, 도착 │ 용 편의 증가 │

│ │ │예정시간, 첫차ㆍ막차 운행시 │ │

│ │ │ 간 등 정보제공 │ │

└───────┴──────┴──────────────┴───────┘

(자료 제공=서울시)

김용일 서울시의원,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열린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번 총회는 2025년 서울시의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 지원 사업 대상지로 지정되기 위한 첫걸음으로, 모래내 영세 상권을 정책 지원 대상으로 편입해 상권 활성화 및 경쟁력 증대를 도모하기 위해 인근 상인들의 적극적인 참여 속에 개최됐다. 김 의원은 골목형상점가 지정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관련 법규를 설명했다. 골목형상점가는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25개 이상(서대문구 조례 기준) 밀집한 구역이 지정 대상이다. 김 의원은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되면 전통시장에 준하는 법적 지위를 획득하여 정부와 지자체의 다양한 정책에 참여가 가능하다”라며 “특히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지정 시 일 평균 매출액이 미가입 점포 대비 약 26% 증가하는 등 실질적인 매출 증대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자신이 소속된 기획경제위원회 소관 부서인 서울시 민생노동국과 서울신용보증재단과 함께 사업에 관심을 가지고, 신용보증재단 서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