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바이트 고교생 절반 최저임금도 못 받아”

“아르바이트 고교생 절반 최저임금도 못 받아”

입력 2011-06-29 00:00
수정 2011-06-29 13: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교조, ‘청소년 아르바이트 노동실태’ 설문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는 고교생 10명 중 7명이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았으며 절반가량은 최저임금조차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에 따르면 지난 7~17일 전국의 고교생 1천681명을 대상으로 한 ‘청소년 아르바이트 노동 실태’ 설문조사에서 지난 1년간 아르바이트를 한 경험이 있는 학생은 625명(37.4%)으로 대부분 식당(54.2%)이나 패스트푸드점(10.2%) 등에서 일했다.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는 고교생의 76.4%는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았으며, 근로기준법에 따라 친권자나 후견인의 동의서를 제출해야 하는 18세 미만 학생 가운데 63.6%는 동의서를 내지 않았다.

고교생의 64.9%는 2011년 법정 최저임금이 4천320원임을 알고 있었다. 평일 임금이 최저임금보다 낮았던 학생은 46.8%였고 휴일과 야간 수당이 추가되는 주말에 최저임금을 받지 못하고 일한 학생은 50.6%였다.

최근 1년간 아르바이트를 하다가 사고를 당한 학생은 11.9%였으며 이들 중 59.1%는 ‘내 돈이나 부모님 돈으로 치료비를 해결했다’고 답했다.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받은 부당 대우로는 사업주가 일방적으로 근로조건을 변경한 경우가 56.7%로 가장 많았고 ‘성희롱이나 신체적 폭력을 포함한 인격모독’(30.9%), ‘임금 체불 및 삭감’(26%) 등이 있었다.

부당한 대우를 당했을 때 누군가에게 도움을 받은 경우는 7.7%에 그쳤고 교사의 도움을 받은 경우는 0.2%에 불과했다.

학교에서 아르바이트를 허용하는지 묻는 질문에 78.8%가 ‘허용한다’고 답했고 허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55.6%의 학생들이 아르바이트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교조는 “학교에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노동인권 교육을 해야 한다”며 “일하는 청소년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