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지선하·의대 장양수 교수팀은 체내에서 지방의 산화량을 늘려 체중을 조절하는 단백질인 ‘아디포넥틴’의 농도가 ‘CDH13’이라는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규명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는 ‘CDH13’ 유전자의 발현양에 따라 아디포넥틴의 농도에 차이가 생겨 개인별로 비만도가 다를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를 위해 일반인 4001명을 대상으로 개인당 50만개의 유전자 마커를 분석하는 방법을 적용했으며,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은 이 분야의 저명한 국제학술지(American Journal of Human Genetics) 최근 호에 게재됐다.
지선하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가 대사증후군이나 동맥경화 발생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치료책을 제시하는데 결정적인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심재억기자 jeshim@seoul.co.kr
이는 ‘CDH13’ 유전자의 발현양에 따라 아디포넥틴의 농도에 차이가 생겨 개인별로 비만도가 다를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를 위해 일반인 4001명을 대상으로 개인당 50만개의 유전자 마커를 분석하는 방법을 적용했으며,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은 이 분야의 저명한 국제학술지(American Journal of Human Genetics) 최근 호에 게재됐다.
지선하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가 대사증후군이나 동맥경화 발생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치료책을 제시하는데 결정적인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심재억기자 jeshim@seoul.co.kr
2010-11-27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