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총‘독도의 날’ 선포…日누리꾼 술렁

교총‘독도의 날’ 선포…日누리꾼 술렁

입력 2010-10-25 00:00
수정 2010-10-25 07: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내 대표적인 시민·사회단체 등이 공동으로 매년 10월25일을 ‘독도의 날’로 정하고 첫 선포식을 열기로 해 일본 누리꾼이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교총은 25일 오전 10시30분 서울 흑석초등학교 강당에서 한국청소년연맹(총재 황우여 의원), 우리역사교육연구회, 독도학회, 한국시인협회, 청소년적십자 등과 공동으로 ‘독도의 날’을 선포한다.

또 흑석초교, 동명여고(이상 서울), 풍양초교(경기), 봉화중(경북) 등에서 독도와 관련한 공개 특별수업을 열고 홈페이지를 통해 독도 퀴즈대회도 진행한다.

교총 김동석 대변인은 “1900년 10월25일은 고종 황제가 대한칙령 제41호를 제정해 독도를 울릉도의 부속 섬으로 공표한 날”이라며 “칙령 제정일을 기념하고 독도가 우리 영토라는 사실을 학생들에게 계속 알려나가겠다”고 말했다.

‘독도의 날’ 후원 단체에는 이명박 대통령이 의장으로 있는 민주평통자문회의, 동북아역사재단을 비롯해 한국교육학회, 한국교육행정학회, 한의사협회, 한국여성단체협의회, 한국노총, 한국자유총연맹, 해병대전우회 등이 포함됐다.

교총은 “전국 단위에서 기념하는 ‘독도의 날’이 처음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라며 “내년부터는 관련 단체가 힘을 모아 더욱 체계적으로 ‘독도의 날’을 운영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교총은 민간 차원의 ‘독도의 날’ 선포가 정부 차원의 ‘독도의 날’ 제정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독도의 날’ 제정은 민간단체인 독도수호대 김점구 대표가 2000년 처음 제안한 바 있고, 울릉군은 실제로 2008년 조례로 ‘독도의 날’을 제정한 바 있지만 전국적인 기념일로는 발전하지 못한 상황이다.

일본 네티즌들은 이런 움직임에 날선 반응을 보이고 있다.

주요현안에 대한 해외 네티즌 반응을 소개하는 국내 ‘가생이닷컴’(http://www.gasengi.com)에 따르면 지난 14일 ‘독도의 날’ 선포 관련 기사가 보도되고 나서 일본 주요 포털사이트에는 일본 네티즌의 댓글이 250여 건 올라왔다.

상당수가 “‘다케시마의 날’을 따라했다” “독도는 가공의 지명일 뿐이다” “역사 교육을 잘못 받은 결과” “1년 365일을 혐한의 날로 정하자”는 등의 내용이었다.

일본 주요언론도 이번 ‘독도의 날’ 선포식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NHK, TBS 등이 교총 측에 선포식 취재를 요청해왔고 중국의 한 언론사도 취재 요청을 문의해왔다고 교총은 설명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열린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번 총회는 2025년 서울시의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 지원 사업 대상지로 지정되기 위한 첫걸음으로, 모래내 영세 상권을 정책 지원 대상으로 편입해 상권 활성화 및 경쟁력 증대를 도모하기 위해 인근 상인들의 적극적인 참여 속에 개최됐다. 김 의원은 골목형상점가 지정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관련 법규를 설명했다. 골목형상점가는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25개 이상(서대문구 조례 기준) 밀집한 구역이 지정 대상이다. 김 의원은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되면 전통시장에 준하는 법적 지위를 획득하여 정부와 지자체의 다양한 정책에 참여가 가능하다”라며 “특히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지정 시 일 평균 매출액이 미가입 점포 대비 약 26% 증가하는 등 실질적인 매출 증대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자신이 소속된 기획경제위원회 소관 부서인 서울시 민생노동국과 서울신용보증재단과 함께 사업에 관심을 가지고, 신용보증재단 서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한편 일본 시마네(島根)현은 한국 정부의 강한 항의에도 2005년 ‘다케시마(竹島.독도의 일본식 명칭)의 날’ 조례를 제정해 매년 2월22일 기념행사를 열고 있다.서울=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