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입학사정관제 포함 일반전형 시정조치

고대, 입학사정관제 포함 일반전형 시정조치

입력 2010-08-30 00:00
수정 2010-08-30 10: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고려대가 올해 수시모집에서 대학수학능력시험과 논술 성적 위주로 합격자를 선발하는 일반전형을 입학사정관 전형에 포함했다는 지적을 받아 시정을 검토하고 있다.

 30일 고려대에 따르면 이 학교 입학처 홈페이지 안내 글에는 안암캠퍼스 수시모집 인원 중 2천506명을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뽑는다고 설명했다.

 지역우수인재·세계선도인재·과학영재·일반·사회공헌자·미래로KU 등 6개 전형이지만,이중 57%(1천436명)를 점하는 일반전형은 입학사정관제의 핵심인 서류전형·면접이 아니라 수능·논술고사로 선발하는 방식이라는 지적을 받았다.

 일반전형의 50%(718명)는 수능 최저학력기준 통과 학생을 대상으로 논술고사를 치러 먼저 뽑고,나머지 50%(718명)는 논술 60%와 학교생활기록부(교과 36%,비교과 4%)를 반영해 뽑는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마련한 기준에는 수능 우선선발 전형과 사정관이 지원자격만 심사하는 경우에는 입학사정관제 전형으로 보기 어렵다고 규정돼 있다.

 교육과학기술부 관계자는 “대교협에서 고려대에 시정하라는 입장을 전달했으며 학교 측이 (시정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고려대 입학처 관계자는 “일반전형은 입학사정관이 서류 평가를 하는 부분 참여 전형인데 우선 선발에서 논술 100%를 반영하는 부분은 적절치 않다는 지적이 있었다”며 “일반전형을 입학사정관전형에서 빼기로 했다”고 말했다.

 고려대는 2010년 입학사정관제 지원사업에서 지원금 11억원을 받는 선도대학으로 선정된 바 있다.

이영실 서울시의원 “서울대공원, 카카오 주차장 감사원 지적에도 ‘수수방관’”

서울대공원의 대형 주차장 운영 방식을 둘러싼 특정 사업자 특혜 논란이 다시 불거졌다.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이영실 의원(더불어민주당, 중랑1)은 지난 6일 2025년도 서울대공원 행정사무감사에서, 내년 8월 만료되는 대형 주차장 운영 계약을 둘러싼 감사원 지적 사항 미이행 문제를 집중 제기했다. 감사원이 ‘사용 수익허가’ 방식의 부적절성을 명확히 지적하고 ‘관리 위탁’ 방식으로 전환하라고 권고했음에도, 서울대공원은 이를 무시한 채 제자리걸음을 해왔다는 지적이다. 이 의원은 “주차장의 계약 만료가 임박했는데 감사 결과도 모르고 나왔느냐”며 질타했지만, 서울대공원장은 “공유재산법 절차에 따르겠다”며 원론적 답변만 반복했고, 감사 내용조차 “정확히 파악하지 못했다”고 답해 논란을 키웠다. 이 의원이 공개한 감사원 보고서에는 “주차장 부지 사용수익허가 방식이 아닌, 관리 위탁 방식으로 운영자를 선정해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 공유재산의 적정한 관리와 공정한 경쟁 확보 측면에서 현행 방식은 위법 소지가 크다고 판단한다. 이 의원은 서울대공원의 미흡한 대응에 대비해 법률 자문을 의뢰했고 “사용수익허가 만료 후 동일 사업자에 대한 재허가 의무는 없다”고 해석했다
thumbnail - 이영실 서울시의원 “서울대공원, 카카오 주차장 감사원 지적에도 ‘수수방관’”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