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인구’ 강남 교보타워, ‘최대 밀집’은 명동

‘유동인구’ 강남 교보타워, ‘최대 밀집’은 명동

입력 2010-07-15 00:00
수정 2010-07-15 11: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시내에서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지점은 강남역 교보타워 주변이고,가장 북적이는 곳은 명동 일대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지난해 8~11월 시내 주요 가로와 교차로,다중이용시설 등 1만개 지점의 유동인구와 특성을 조사한 결과,서초구 서초동 교보타워 주변의 보행자가 하루 평균 11만3천606명으로 가장 많았다고 15일 밝혔다.

 명동 CGV 주변은 6만6천633명으로 뒤를 이었다.

 서울시는 이 기간 매일 오전 7시부터 오후 9시까지 희망근로자 2천200명을 배치해 계수기로 지점별 유동인구를 집계했다.

 유동인구 상위 10위 안에는 중구 명동 티니위니 주변(5만8천273명),중구 소공동 롯데백화점 주변(4만9천172명),명동 엠플라자 주변(4만7천929명),명동 유네스코하우스 주변(4만1천529명),명동 엠플라자 뒷편(4만501명),명동 세븐일레븐 주변(3만7천216명) 등 명동 일대가 7곳이나 포함됐다.

 종로구 관훈동 도한사 주변(3만8천941명)과 영등포구 영등포역 정류소 옆(3만7천59명)도 각각 8위와 10위에 올랐다.

 전체 조사지점의 요일별,시간대별 보행자 수는 금요일 오후 6∼7시가 평균 393명으로 가장 많았고 토요일 오전 7∼8시가 73명으로 가장 적었다.

 자치구별,조사지점별 하루 평균 유동인구는 중구(6천203명)와 종로구(5천413명),동작구(4천599명),강남구(4천291명) 순으로 많았고,중랑구(1천933명)와 성북구(2천102명),금천구(2천134명) 순으로 적었다.

 또,서울시가 1천개 지점에서 설문을 통해 유동인구의 속성을 분석한 결과,혼자 걸어가는 사람이 72.9%,짐 없이 맨손으로 걷는 사람이 77.1%였다.

 명동은 평상복 차림이 87.3%에 달했지만 테헤란로는 정장 차림이 43.8%로 많은 편이었다.

 보행 목적을 연령별로 보면 문화활동은 20∼30대가 62%를 차지했고 병원이용과 산책은 60대 이상이 각각 30%와 46%로 많았다.아무 이유 없이 걷는 사람도 60대 이상이 절반 이상이었다.

 은행과 우체국,관공서 이용은 오전 11시 이후에 78.2%가 몰렸지만 운동과 체력관리는 오전 11시 이전이 34.7%로 가장 많았다.

 송정희 서울시 정보화기획단장은 “이번 조사 결과를 도시디자인과 보행환경 개선,소상공인 등 시민정보서비스를 위한 시정 운영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내년에 서울시 통계 홈페이지(stat.seoul.go.kr)에서 제공할 예정이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열린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번 총회는 2025년 서울시의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 지원 사업 대상지로 지정되기 위한 첫걸음으로, 모래내 영세 상권을 정책 지원 대상으로 편입해 상권 활성화 및 경쟁력 증대를 도모하기 위해 인근 상인들의 적극적인 참여 속에 개최됐다. 김 의원은 골목형상점가 지정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관련 법규를 설명했다. 골목형상점가는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25개 이상(서대문구 조례 기준) 밀집한 구역이 지정 대상이다. 김 의원은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되면 전통시장에 준하는 법적 지위를 획득하여 정부와 지자체의 다양한 정책에 참여가 가능하다”라며 “특히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지정 시 일 평균 매출액이 미가입 점포 대비 약 26% 증가하는 등 실질적인 매출 증대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자신이 소속된 기획경제위원회 소관 부서인 서울시 민생노동국과 서울신용보증재단과 함께 사업에 관심을 가지고, 신용보증재단 서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