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非접촉 폭발로 침몰”

“천안함 非접촉 폭발로 침몰”

입력 2010-04-26 00:00
수정 2010-04-26 00: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합조단 잠정결론… 金국방 “버블제트에 가장 가까울 것”

천안함 침몰 원인을 조사 중인 민·군 합동조사단은 25일 함수(배 앞부분) 절단면을 육안(肉眼)조사한 결과 어뢰나 기뢰가 배 밑에서 터지는 ‘버블제트’가 배를 두 동강 냈을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윤덕용 합조단 공동단장(민간측)은 국방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절단면의 찢어진 상태나 안으로 심하게 휘어진 상태를 볼 때 수중폭발 가능성이 높다.”면서 “선체 내·외부에 폭발에 의한 그을음과 열에 녹은 흔적이 전혀 없고 파공된 부분도 없으므로 비접촉 폭발로 판단했다.”고 말했다.

김태영 국방장관도 “버블제트에 가장 가깝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지만 그 외의 다른 방법도 조사에서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윤 단장은 “선체 아랫부분과 좌측이 휘어져 있는 것이 (수중폭발의) 증거”라며 “폭발의 위치는 터빈실 좌현(왼쪽) 하단 수중 어느 곳이 될 것”이라고 했다.

박정이 공동단장(군측)도 “선저부분에 구멍 흔적이 전혀 없고 완전히 말려 올라간 형태이며 용골(함정 뼈대) 부분도 절단돼 완전히 위로 감겨 올라갔다.”고 했다.

합조단에 따르면, 전체 길이가 88.32m인 천안함을 인양한 뒤 측량한 결과 함수와 함미(배 뒷부분)의 좌현 길이가 각각 47.6m, 37.5m로 나타나 3.2m가 모자란다.

또 함수와 함미 우현 길이는 각각 45.4m, 33m로 실측돼 9.9m가 유실됐다. 가스터빈실 좌현 하단 부분이 폭발로 강한 압력을 받았고 이 힘이 오른쪽으로 치솟으면서 좌현과 우현 선체를 각각 3.2m, 9.9m(파손 부위의 최대 직경)나 날려버린 것으로 추정된다.

윤 단장은 “좌현에서 압력을 받아 우측으로 압력이 올라가다 보니 오른쪽 면이 더 많이 손상됐다.”고 했다.

유실된 곳은 배 중앙부에 있던 상사식당과 소자(전자측정)장비실, 기관조종실, 건조물 창고, 사병식당 조리실 등이다. 디미스트(공기흡입구), 연돌(연통), 하푼 미사일도 유실됐다. 가스터빈실은 터빈이 사라지고 10m 정도 텅 비어 있는 상태다.

충격 유발인자가 어뢰인지, 기뢰인지에 대해 박 단장은 “현재 수중 폭발 위치별 시뮬레이션을 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진행되면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 단장은 “일반적으로 수중 폭발이 나면 충격파 1~2초 후에 버블제트가 생기는데, 폭발점이 선저에 가까울수록 초기 폭발효과가 커지고 버블효과는 적어진다.”고 설명, 물기둥 없는 버블제트가 있었을 가능성도 시사했다. 이어 “물기둥이 위쪽으로 날 수도 있고 옆으로 날 수도 있고 수중의 깊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고 했다.

이날 합조단의 조사 결과는 천안함 사건이 북한의 소행일 가능성이 높아진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주목된다.

김상연기자 carlos@seoul.co.kr
2010-04-26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