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쪽 찬공기가 남쪽 습한 공기 만나 폭설”
9일 저녁부터 10일 아침까지 한겨울에나 볼 수 있는 큰 눈이 내려 전국을 놀라게 했다.3월 하고도 중순에 접어드는 이 시점에 전국적으로 ‘때늦은 큰 눈’이 내리기는 이례적인 현상이다.
☞ “봄 맞나?” 전국 곳곳 눈 속 천태만상
기상청에 따르면 10일 오전 8시 현재까지 대관령의 적설량(예전에 내려 쌓인 눈과 얼음의 두께 포함)이 108.0cm에 달하는 등 강원 산간과 영동에는 몇일째 폭설이 이어졌고,전국적으로도 서울에 13.5cm의 눈이 쌓이는 등 비교적 고르게 10㎝ 안팎의 적설량을 기록했다.
기상청은 이번 큰 눈이 지난 1월 기록적인 폭설을 만들어냈던 기상적 상황과 기본적으로 비슷한 상황에서 내렸다고 설명한다.북쪽에서 유입된 찬공기가 남쪽의 습한 공기와 만나 큰 눈을 뿌렸다는 것이다.
이번 대설의 직접적인 원인도 북서쪽에서 고도 5천500m 상공을 통해 우리나라로 유입된 영하 40도의 매우 찬 공기다.
이 한기는 일본 남쪽 해상에서 서해상으로 형성된 기압골과 만나 서해상에서 큰 눈구름대를 만들어 냈고,이에 따라 전국적으로 대기가 불안정해져 돌풍과 폭설 등 악천후를 유발했다는 것이 기상청의 설명이다.
기본적으로 1월 초 서울 지역에 관측사상 최대 폭설인 25.8cm의 눈이 내렸던 때와 유사한 기상 상황이다.
북쪽 대륙에서 들어온 매우 차가운 공기 덩어리가 비교적 따뜻하고 습기 많은 남쪽의 공기 덩어리와 부딪히면서 큰 눈을 유발했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눈은 기온이 낮은 12월이나 1월에 자주 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폭설은 오히려 날씨가 다소 풀리는 2∼3월에 올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기상청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기온이 낮으면 대기 중에 수증기가 적어 눈으로 내릴 수분도 많지 않지만,기온이 올라가면 그만큼 대기 중 수증기 함량도 커지므로 갑자기 한기가 유입됐을 때 눈의 양도 많아질 여지가 크다는 뜻이다.
그래서 이른 봄에 눈이 내리는 경우는 겨울에 비해 드물지만 일단 눈이 오면 폭설로 변할 가능성이 오히려 더 높다고 기상청은 설명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