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 정상회의 기간 자율적 2부제 시행

G20 정상회의 기간 자율적 2부제 시행

입력 2010-11-01 00:00
수정 2010-11-01 13: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수도권 공무원 출근시간, 서초·강남 등 등교시간 10시로 늦춰

G20 정상회의 기간에 서울 지역에서는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자동차 2부제가 시행된다.

 이에 따라 11일에는 자동차 번호판의 끝자리 번호가 홀수인 차량이,12일에는 짝수인 차량이 운행된다.

 정부는 1일 G20 정상회의에 따른 교통정체를 막기 위해 11일과 12일 이틀간 자율적 2부제를 시행하는 내용의 교통대책을 발표했다.

 국토부 김희국 2차관은 “강제 2부제 시행을 검토했으나,G20 정상회의 유치는 우리나라의 경제·문화적 국격이 향상되는 계기가 되는 만큼 강제적 수단보다 시민의 자율적 참여를 부탁드리는 방향으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또 정상회의가 열리는 12일에는 교통량 분산을 위해 환경부 주관으로 매년 9월22일에 실시됐던 ‘승용차 없는 날’ 행사가 전국적으로 개최되며,서울 지역은 11일까지 확대해 시행된다.

 정부는 대신 자동차 2부제와 ‘승용차 없는 날’ 병행에 따른 시민의 불편을 줄이기 위해 수도권 지역의 버스와 지하철 운행을 늘리기로 했다.

 서울시는 버스 400대,경기도는 서울로 드나드는 노선에 예비차량 200대를 증차 운행하고,수도권 지하철은 서울 58편,수도권 30편의 임시열차가 증편된다.

 이와 함께 출·퇴근 시간 버스가 2.5분~5분 간격으로 집중 배차되는 시간도 1시간 더 연장해 서울은 오전 7~10시 및 오후 6~9시,경기도는 오전 6~10시 및 오후 6시~9시까지 버스를 집중 운행키로 했다.

 출·퇴근시 교통량 분산을 위해 서울 등 수도권 공무원의 출근시간과 동작·송파·서초·강남 등 서울 4개 구 및 초·중·고등학교 등교시간은 10시로 늦춰진다.

 정부는 아울러 경제단체와 협조해 민간기업에서도 출근시차제 등을 통해 차량운행을 최소화하고 연·월차를 권장키로 했다.

 극심한 교통혼잡 발생에 대비해 시내 주요 교차로와 시계 진입지점 등에는 경찰이 배치돼 진입조절 등 교통관리 대책을 시행하고,도로공사에서는 서울 진입 교통량 관리를 위해 필요시 수도권 지역 고속도로 톨케이트 부스를 조절키로 했다.

 대책의 하나로 검토됐던 대중교통 무료승차는 실시되지 않는다.

 김 차관은 “자율적 2부제는 우리나라의 성숙한 교통문화를 세계에 보여주는 기회가 될 것”이라며 “세계 각국에서 우리나라를 찾아 온 손님을 배려하는 마음으로 자가용 운행을 자제해 줄 것”을 당부했다.

 

신동원 서울시의원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 백사마을 주민 불이익 해소 위해 공정 보상 나서야”

서울특별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신동원 의원(노원1·국민의힘)은 지난 28일 제332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시정질문에서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공사) 황상하 사장을 상대로 백사마을 주택재정비사업 과정에서 드러난 이주대책·보상 문제를 집중 추궁하며, “주민 불이익을 신속히 해소하고 공정한 보상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신 의원은 “백사마을의 무허가주책 가옥주들은 수십 년간 해당 지역에 터를 잡고 살아온 고령층 및 저소득층 주민들이 대부분이다. 이들은 재개발 사업 앞에서 한없이 취약해지는 사회적 안전망의 사각지대에 놓인 대표적인 주거 약자”라고 강조했다. 이어 “백사마을은 주거지 보전지역 해제로 세대가 741세대 늘어나 사업성이 개선됐음에도, 무허가주택 가옥주들에 대한 입주권 기준일을 1981년으로 제한해 주민 불이익이 계속되고 있다. 타 재개발 지구처럼 형평성 있는 보상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 의원은 SH공사가 시행한 타 재개발 지구에서 임대아파트 입주권을 부여했던 사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백사마을 주민에게는 동일한 혜택을 적용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며 “백사마을 주민만 차별을 받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나며, 이는 명백한 불공정 사례”
thumbnail - 신동원 서울시의원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 백사마을 주민 불이익 해소 위해 공정 보상 나서야”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