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우석 사태 책임론’이 불거져 사퇴 요구를 받고 있는 박기영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이 “황우석 연구팀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는 역할은 내게 주어지지 않았다”며 책임론을 부인하고 나섰다.
신임 과학기술혁신본부장 박기영 순천대 교수 연합뉴스
박 본부장은 2005년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의 줄기세포 논문조작 사건 당시 대통령 정보과학기술보좌관으로 황 전 교수가 예산 등 지원을 집중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앞장선 인물이다.
이에 과학연구단체, 시민단체와 야당 등을 중심으로 박 본부장의 임명을 철회해야 한다는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
9일 조선비즈에 따르면 박 본부장은 조선비즈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황우석 연구팀의 연구에 대해서 소문이 있다는 것은 들었지만, 직접 가서 연구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는 역할은 내게 주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사이언스지와 과학계의 논문평가 시스템, 해외 저명한 학자들의 평가를 전적으로 신뢰했다”면서도 “(지금은) 판결이 났으니 (줄기세포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박 본부장은 당시 황 전 교수에 대한 연구비 몰아주기 비판에 대해서는 “다 부처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유치한 것이지 내가 연구비를 해드리거나 그런 적은 없다”고 했다.
이어 “그 당시에 황우석 박사의 연구를 지원해야 한다는 여론이 굉장히 높았고 여기저기에서 많이 황 박사의 연구를 유치하려고 해서 황 박사가 연구비를 신청하면 유리했다”며 “제도 속에서 황 박사가 연구비를 딴 것”이라고 주장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신임 과학기술혁신본부장 박기영 순천대 교수
연합뉴스
이에 과학연구단체, 시민단체와 야당 등을 중심으로 박 본부장의 임명을 철회해야 한다는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
9일 조선비즈에 따르면 박 본부장은 조선비즈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황우석 연구팀의 연구에 대해서 소문이 있다는 것은 들었지만, 직접 가서 연구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는 역할은 내게 주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사이언스지와 과학계의 논문평가 시스템, 해외 저명한 학자들의 평가를 전적으로 신뢰했다”면서도 “(지금은) 판결이 났으니 (줄기세포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박 본부장은 당시 황 전 교수에 대한 연구비 몰아주기 비판에 대해서는 “다 부처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유치한 것이지 내가 연구비를 해드리거나 그런 적은 없다”고 했다.
이어 “그 당시에 황우석 박사의 연구를 지원해야 한다는 여론이 굉장히 높았고 여기저기에서 많이 황 박사의 연구를 유치하려고 해서 황 박사가 연구비를 신청하면 유리했다”며 “제도 속에서 황 박사가 연구비를 딴 것”이라고 주장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