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배치 30년 넘은 F-15C/D 전투기 퇴역 검토…F-16 성능개량

美, 배치 30년 넘은 F-15C/D 전투기 퇴역 검토…F-16 성능개량

입력 2017-03-24 11:28
수정 2017-03-24 11: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공중전 지존’ F-15 실전서 성능 입증, F-16에 AESA 레이더 장착임무ㆍ성능 놓고 이견도 만만찮아, 2020년 이후부터 가시화 전망

미국이 취역한 지 30년이 훌쩍 넘은 F-15C/D ‘이글’ 전투기를 퇴역시키는 대신 F-16 ‘파이팅 팰컨’ 전투기 현대화 작업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나섰다.

미군 기관지 성조지, 에어포스 타임스 등 미언론은 미 공군이 공중전 주력 전투기로 사용해온 236대의 F-15C/D 전투기를 퇴역시키고 이 과정에서 절감되는 돈으로 F-16 전투기에 최대 탐지거리가 360㎞인 고성능 다기능위상배열(AESA) 레이더를 장착하는 등 성능을 높이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기 시작했다고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F-15C/D는 1979년부터 양산된 후 1980년대에 공군에 본격적으로 보급된 기종으로 현재는 주 방위군이 대부분을 운영 중이다. 스콧 라이스 주 방위군 공군 사령관(중장)과 스콧 웨스트 공군 참모차장 겸 작전국장(소장) 등 고위 관계자들은 22일 하원 군사위원회 청문회에 참석, 오는 2020년 예산연도 이후 F-15C/D 기종을 퇴역시키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라이스 참모차장은 구체적인 퇴역 시기는 밝힐 단계가 아니라면서도 “공군 예산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 중인 것은 사실”이라고 밝히고 F-15C/D의 퇴역과 F-16의 개량작업 가능성을 시사했다.

또 퇴역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력을 F-16기 쪽으로 이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미 공군이 운영 중인 F-16 대수는 모두 949대다.

라이스는 F-15C/D 퇴역에 따른 전력 공백을 F-16이 메꿀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퇴역에 따른 비용 절감 추산액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에 대한 의회 차원의 반발도 만만찮다. 공중전 전문인 F-15C/D 기종만큼 F-16이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느냐는 게 반발의 핵심이다.

전투기 조종사 출신인 마사 맥샐리 의원은 “스텔스기인 F-22 랩터가 취역하기 이전까지 공중전 분야의 최강자는 F-15C기였다”며, “다목적용 전투기인 F-16도 훌륭하지만, F-15C만큼 공중전에서 기량을 발휘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F-15C/D는 AIM-9 사이드와인더와 AIM-120 암람 공대공 미사일 8발을 장착하는 반면 F-16은 공대공 미사일을 이나 공대지 미사일을 최대 6발만 탑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M-61 A1 20㎜ 발칸 포탄 수에서도 F-15C/D는 940발을 탑재하지만, F-16은 500발밖에 탑재하지 못한다고 전문가들은 설명했다. 미 공군은 대변인을 통해 F-15C/D의 퇴역과 이에 따른 F-16 현대화는 아직 구체화한 것이 없다고 공식 확인했다.

전문가들은 F-15C/D의 퇴역과 F-16의 현대화에 앞서 철저한 종합검토 작업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글러스 맥도널드(이후 보잉에 합병)가 제작한 F-15C는 실전에서 뛰어난 성능을 입증했다.

최고 속도가 마하 2.5인 F-15C가 공중전에서 거둔 첫 전과는 1984년 7월에 나왔다. 사우디아라비아 공군 소속 F-15C 두 대가 근접해온 이란 공군의 F-4 ‘팬텀’ 전투기 두 대를 격추하면서 주목을 받았다.

1991년 걸프전에서도 F-15C는 이라크군의 MIG-29 전투기 두 대와 ‘미라주’ 전투기 세 대 등 모두 5대를 격추했다. 이어 1999년 유고 코소보 내전에서도 정찰비행에 나선 F-15C 한 대가 접근해오는 세르비아군 소속 MIG-29기 두 대를 격추하는 등 성능을 입증했다.

한편 일본은 1976년 9월 당시 소련 극동군 소속 MIG-25 ‘폭스트롯’ 전투기가 레이더망을 뚫고 일본에 망명하는 데 충격을 받아 면허생산 방식으로 모두 213대의 F-15 CJ/DJ 기종을 생산해 배치했다.

한국은 성능을 개량한 F-15K ‘슬램 이글’ 기종을 운영 중이다.

김원중 서울시의원, 서울시 전기 따릉이 출시 검토요청

서울시의회 교통위원회 김원중 의원(성북2, 국민의힘)은 지난 5일 열린 교통실 행정사무감사에서 공유 전기자전거 불법주차 문제와 공공 전기자전거 도입 필요성을 집중적으로 지적하며, 서울시가 ‘전기 따릉이(e-따릉이)’ 도입을 다시 검토할 것을 제안했다. 2025년 8월 현재 서울시 공유자전거는 6개 사업자 7개 브랜드에서 4만 1421대 운영 중이며 방치 자전거에 대한 민원 역시 계속 증가함에도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1조에 따라 ‘10일 이상 공공장소에 무단으로 방치되어 통행을 방해하는 자전거’만 견인할 수 있어 PM(개인형 이동장치) 방치 견인 같은 즉시 조치는 불가능하다. 김 의원은 “최근 3년간 공유 전기자전거 이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했음에도, 서울시가 관리체계를 갖추지 못하고 있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 “현행법이 급변하는 교통환경을 따라가지 못한다면, 서울시가 새로운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김 의원은 과거 서울시가 추진했었던 전기 따릉이(e-따릉이) 사업의 추진을 제안하며, “민간 기업이 이익을 우선시하는 구조에서는 사회적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어렵다. 공공이 나서 시민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자연스럽게
thumbnail - 김원중 서울시의원, 서울시 전기 따릉이 출시 검토요청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