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美 동맹 긴급 진단] 외교가 “대사의 ‘급’이 그 나라 중요도 반영”

[韓·美 동맹 긴급 진단] 외교가 “대사의 ‘급’이 그 나라 중요도 반영”

입력 2013-11-25 00:00
수정 2013-11-25 00: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美 정부의 동맹 기준은

최근 미·일 관계가 급속히 가까워지면서 미국 정부 내부적으로 동맹 중에도 급에 따라 대우를 다르게 하는 규정이 있는지 궁금증이 일고 있다. 국무부 정책기획국 부국장을 지낸 앨런 롬버그 스팀슨센터 동아시아 국장은 23일(현지시간) “지정학적 특색에 따라 나라마다 중요도의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 기준으로 동맹의 순위를 매길 수는 없다”면서 “한국과 일본은 각각 나름의 이유로 중요한 동맹”이라고 말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한국을 ‘핵심’(linchipin), 일본을 ‘주춧돌’(cornerstone)이라고 표현한 바 있다.

외교가에서는 나라마다 파견하는 대사의 급이 사실상 그 나라의 중요도를 반영한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예컨대 장관급이 대사로 가는 나라를 국장급이 대사로 가는 나라보다 중요하게 여긴다는 것이다. 그렇게 보면 미국은 일본을 한국보다 비중 있게 여긴다고 할 수도 있다. 현재 성 김 주한 미대사는 차관보급인 반면, 캐럴라인 케네디 주일 미대사는 ‘로열 패밀리’로 불릴 만큼 유명인사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주한 대사는 북한 급변 사태 등 전문적 식견이 필요한 자리여서 국무부 당국자 출신이 오는 게 적절한 만큼 단순 비교는 적절치 않다는 시각도 많다. 지금까지 미 의회에서 연설한 한국 대통령은 6명인 반면 일본 총리는 단 한 명도 없다는 사실이 한국의 중요도를 반영한다는 견해도 있다. 미국이 양국 외교·국방장관(2+2) 회담을 갖는 동맹이 진짜 중요한 동맹이라는 시각도 있다. 한국과 일본 모두 미국과 2+2 회담을 가진 바 있다.

워싱턴 김상연 특파원

carlos@seoul.co.kr

김용일 서울시의원,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열린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번 총회는 2025년 서울시의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 지원 사업 대상지로 지정되기 위한 첫걸음으로, 모래내 영세 상권을 정책 지원 대상으로 편입해 상권 활성화 및 경쟁력 증대를 도모하기 위해 인근 상인들의 적극적인 참여 속에 개최됐다. 김 의원은 골목형상점가 지정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관련 법규를 설명했다. 골목형상점가는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25개 이상(서대문구 조례 기준) 밀집한 구역이 지정 대상이다. 김 의원은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되면 전통시장에 준하는 법적 지위를 획득하여 정부와 지자체의 다양한 정책에 참여가 가능하다”라며 “특히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지정 시 일 평균 매출액이 미가입 점포 대비 약 26% 증가하는 등 실질적인 매출 증대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자신이 소속된 기획경제위원회 소관 부서인 서울시 민생노동국과 서울신용보증재단과 함께 사업에 관심을 가지고, 신용보증재단 서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2013-11-25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