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무기수출국 ‘빅5’

한국, 무기수출국 ‘빅5’

입력 2012-09-03 00:00
수정 2012-09-03 00: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작년 15억 달러로 급증… 美·러·佛·中 이어 5위

지난해 우리나라의 재래식 무기 수출이 급증해 세계 5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적 무기 수출국인 유럽이 재정 위기로 주춤한 사이, 우리나라가 개발도상국 무기 시장에서 주요 수출국으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2일(현지시간) 미국 의회조사국(CRS)이 발표한 ‘2004~2011년 개발도상국 대상 재래식 무기 판매’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이 개도국을 비롯한 외국을 상대로 판매 계약한 재래식 무기류는 무기와 실탄, 훈련 등을 포함해 15억 달러(약 1조 7000억원) 규모로 집계됐다. 미국(663억 달러), 러시아(48억 달러), 프랑스(44억 달러), 중국(21억 달러)에 이어 5위에 해당하는 규모다. 이어 이탈리아(12억 달러), 우크라이나(11억 달러), 터키(8억 달러), 스페인(5억 달러), 영국(4억 달러)이 6~10위를 차지했다.

세계 재래식 무기 수입의 83.9%를 차지하는 개도국으로의 수출은 미국(563억 달러), 러시아(41억 달러), 프랑스(27억 달러), 중국(21억 달러), 한국(15억 달러), 이탈리아(11억 달러), 우크라이나(11억 달러), 터키(7억 달러), 브라질(3억 달러), 영국(3억 달러) 순으로, 한국이 역시 5위에 올랐다.

특히 우리나라와 중국의 수출이 개도국에 집중돼 있음을 보여 준다. 한국은 2004~2007년, 2008~2011년 등 4년씩 합친 통계뿐 아니라 2010년에도 10위권에 들지 못했지만, 최근 무기 수출이 급증하면서 지난해 순위가 뛰어올랐다.

반면 해마다 10위 안에 들었던 우리나라의 재래식 무기 도입은 국산화 등의 영향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CRS 보고서가 밝힌 지난해 무기 수입 계약국 1~10위에 한국은 포함되지 않았다. 1위는 사우디아라비아로 337억 달러를 수입했고, 인도(69억 달러), 아랍에미리트연합(45억 달러), 이스라엘(41억 달러), 인도네시아(21억 달러), 중국(19억 달러), 타이완(16억 달러), 이집트(15억 달러) 순이었다.

김미경기자 chaplin7@seoul.co.kr


정준호 서울시의원 “교육은 백년지대계, 기계적 교원 감축 지양해야”

정준호 서울시의원(더불어민주당·은평4)이 제332회 임시회 시정질문을 통해 서울 지역의 교원 정원 감축이 학생 학습권과 교육의 질을 위협하고 있다며, 서울시교육청의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했다. 정 의원은 지난 3년간 교육부의 기계적 교원 정원 산출에 따른 감축 정책으로, 교사 1명당 담당해야 할 학생 수가 증가해 학생 중심 교육 활동이 크게 훼손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최근 5년간 서울 교사 총정원은 평균 2.6% 줄어, 전국 평균 감축률(1.1%)보다 두 배 이상 높았다. 특히 일선 학교에서는 학생 수 감소율보다 교사 정원이 더 빠른 속도로 줄어들면서, 학급당 학생 수가 다시 늘어나는 역행 현상도 발생하고 있다. 정 의원은 ▲다문화·특수교육 ▲AI 교육 ▲고교 학점제 전면 시행 등 시대 변화에 따른 다양하고 새로운 교육수요에 대해 언급하며, 학령인구 감소라는 단순한 숫자 논리로 교원을 감축하는 것은 서울의 특수성과 현실을 외면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OECD 평균 학급당 학생 수가 초등 21명, 중등 23명 수준인 데 반해, 강남·송파·양천 지역 초등학교는 30명을 초과하고 있으며 학급당 학생 수가 전국 평균 이상인 중등학교도 150개교에 달한
thumbnail - 정준호 서울시의원 “교육은 백년지대계, 기계적 교원 감축 지양해야”

2012-09-03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