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발 밑이 위험하다”...싱크홀 연평균 900건 발생

“내 발 밑이 위험하다”...싱크홀 연평균 900건 발생

입력 2017-10-11 17:17
수정 2017-10-11 17: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싱크홀 발생 70%는 상하수관 손상 때문
자유한국당 박찬우 의원 국감자료

운전을 하거나 길을 가고 있는데 갑자기 발 밑이 꺼진다면? 갑자기 땅이 내려앉으면서 구멍이 생기는 지반침하 현상인 ‘싱크홀’이 전국적으로 지난 4년간 3600여건 이상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 해 평균 900건 꼴이다.
이미지 확대
폭우 피해 청주서 싱크홀 발생
폭우 피해 청주서 싱크홀 발생 17일 오후 청주시 흥덕구의 한 도로에서 지름 2m, 깊이 2m의 싱크홀이 발생해 시 관계자들이 복구 작업을 하고 있다. 2017.7.17 연합뉴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박찬우 자유한국당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 동안 발생한 싱크홀은 전국적으로 총 3625건으로 집계됐다. 연 평균 906건의 싱크홀이 발생한 것이다.

연도별로 보면 2013년 898건에서 2014년 858건으로 약간 줄었다가 2015년 1036건으로 급증했다. 지난해에는 다시 833건으로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인구가 밀집한 서울시에서 전체 건수의 81.6%인 2960건이 발생했다. 싱크홀 발생 원인으로는 전체 66.3%인 2405건이 하수관 손상 때문이었고 관로공사 등 기타 원인이 1115건(30.7%), 상수관 손상이 105건(2.8%)로 나타났다.

국토부는 1998년부터 10년 동안 3300억원을 투자해 지하시설물 전산화 사업을 했고 2015년부터는 15종의 지하정보에 대한 ‘지하공간통합지도’도 구축 중에 있다. 

박 의원은 “지반침하 발생 원인의 70%는 상하수관 손상‘이라며 ”인구밀집 지역일수록 노후 상하수도관 등 지하 시설물이 복잡하게 얽혀있어 지반침하 사고가 잦을 수 밖에 없는 만큼 지하공간 안전에 대한 범국가적 통합관리시스템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문성호 서울시의원 “‘다음 정류장에서 장애인이 내립니다’ 장애인전용 하차벨 음성 안내로 전환, 안전성 높여”

서울특별시의회 교통위원회 소속 문성호 의원(국민의힘·서대문구2)은 최근 시각장애인과 휠체어 탑승 시민의 대중교통 이용시 승하차 안전 문제에 대해 집중 조명해 개선안을 제안했다. 제332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문 의원은 5분자유발언을 통해 교통약자 대중교통 이용 개선을 논하는 경우 보통 좌석에만 시선이 집중되는 경우를 지적하며, 실제 중요 문제는 승하차 과정에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문 의원은 교통량이 많은 서울 도심에서 시각장애인 혹은 휠체어 탑승 시민의 버스 승하차를 위해서는 곳곳에 어려움이 도사리고 있다며, 이를 해결하고자 두 가지 대안을 제시했다. 첫째, 버스 내 장애인전용 하차 버튼을 누르면 지속적으로 울리는 부저음을 음성 안내로 전환해, 하차시 “다음 정류장에서 장애인분이 하차합니다. 안전한 하차를 위해 시민 여러분의 배려를 부탁드립니다”라는 안내 방송이 송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둘째, 버스정류장 간판에 신호체계에 혼선이 없는 색상의 안내 등이 켜질 수 있도록 설비해 이를 누르면 시각장애인 혹은 휠체어 탑승 시민이 해당 정류장에서 승차할 예정이라는 것을 운전기사님께서 진입 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인지한 운전기사님은 차내 방송 등으
thumbnail - 문성호 서울시의원 “‘다음 정류장에서 장애인이 내립니다’ 장애인전용 하차벨 음성 안내로 전환, 안전성 높여”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