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1차 시추에서 성공한 사례 없어”
남미가이아나유전도 10차례 넘게 시추
지난해 12월 20일부터 대왕고래 유망구조에서 1차 탐사 시추 작업을 진행한 시추선 웨스트 카펠라호. 한국석유공사 제공
대통령실은 7일 동해 심해 가스전 유망구조(석유나 천연가스 같은 자원이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높은 지질구조) ‘대왕고래’에 대한 1차 시추에서 ‘경제성 확보가 어렵다’는 결과가 나온 데 대해 “탐사를 계속 진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통화에서 “보통 1차 시추에서 성공한 사례는 거의 없고, 10번 넘게 시추가 이뤄진다. 남은 6개의 공구에서 탐사를 계속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세계 최대인 남미 가이아나 유전도 10차례 넘는 시추 끝에 유전이 발견됐던 만큼 1차 시추에서 프로젝트가 동력을 잃으면 안 된다는 취지다.
이 관계자는 “해외에서는 동해 가스전 성공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고, 메이저 정유회사들의 관심도 많은 상황”이라며 올해 상반기 내 기업 투자를 유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부 예산 지원 없이 해외 투자 유치로만 추가 탐사를 진행한다면 한국에 불리한 조건으로 진행돼 국익에 손실이 우려된다고도 덧붙였다. 앞서 야당은 올해 예산에서 동해 심해가스전 개발 예산 497억원을 전액 삭감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해 6월 국정브리핑에서 경북 포항 영일만 일대에 140억 배럴에 달하는 석유·천연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물리탐사 결과가 나왔다고 발표하며 ‘대왕고래 프로젝트’는 힘을 받았다. 그러나 전날 산업통상자원부는 1차 시추 결과에 대해 “대왕고래 시추 과정에서 가스 징후가 잠정적으로 일부 있었으나, 경제성을 확보한 수준은 아니다”고 발표했다. 정부는 해외 투자를 유치해 추가 탐사 시추를 진행한다는 방침이지만 윤 대통령이 부재한 상황에서 프로젝트 동력을 잃었다는 우려도 나온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