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방한을 계기로 추진됐던 문재인 전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의 만남이 최종 취소됐다.
문 전 대통령 측 관계자는 19일 “미국 측으로부터 오늘 정오 쯤에 어렵다는 연락이 왔다”며 “특별한 이유에 대한 설명을 요구하지는 않았고 잘 알겠다 정도로 답했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 대통령의 방한 일정이 빡빡할 것이고 무엇보다 현직 정부와의 일정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문 전 대통령의 임기 중이던 지난달 28일 청와대는 백악관의 요청으로 문 전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의 만남이 추진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미지 확대
공동기자회견 하는 한미정상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1일 오후(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정상회담 후 공동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1.5.22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공동기자회견 하는 한미정상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1일 오후(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정상회담 후 공동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1.5.22 연합뉴스
이 관계자에 따르면 미국 측은 대통령 선거를 치르기 전인 지난 2월 말부터 차기 정부와 정상회담을 추진할 뜻을 밝히면서 퇴임할 문 전 대통령을 만나고 싶다고 요청했다. 이 관계자는 “(미측이) 지난해 한미 정상회담 결과에 대해 바이든 대통령이 만족했고 문 전 대통령이 한미 동맹 관리를 잘해 온 것을 치하하는 차원에서 비공식적으로 짧게 만나자는 뜻을 전했다”고 설명했다.
이후 양측은 일정을 조율해왔지만 최종 확정되지 못한 채 유보됐다가 이날 최종 취소됐다. 일각에서 제기된 대북 특사설에 대해선 이 관계자는 “한번도 고려한 적 없다”고 했다. 그는 “비공식적인 만남으로 길어야 2~30분 정도로 예상했었다”고 덧붙였다.
미국 측이 바이든 대통령과 문 전 대통령과의 만남을 최종 취소한 것은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조짐 등 긴박한 안보 상황과 현직 대통령에 대한 외교적 결례 논란 등을 감안한 결과로 풀이된다. 정치권에선 문 전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의 만남을 두고 대북 특사 가능성도 제기했으나 박진 외교부 장관은 지난 17일 국회에서 “들은 바도 없고 검토한 적도 없다”고 선을 그었다.
서유미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