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文 대안’ 되겠다던 윤석열·최재형…세몰이·이미지 정치 논란

‘文 대안’ 되겠다던 윤석열·최재형…세몰이·이미지 정치 논란

이하영 기자
입력 2021-08-07 14:00
업데이트 2021-08-07 14: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윤석열-최재형 연합뉴스
윤석열-최재형
연합뉴스
문재인 정부와 각을 세우다 정치에 입문한 대선주자 윤석열 전 검찰총장과 최재형 전 감사원장에 대한 우려가 짙어지고 있다. ‘반문’(반문재인)을 외치며 대안 세력을 자처했던 것에 비해 두 후보의 국가 비전이나 대안 정책 설계는 보이지 않는 상황이다. 대중에는 이미지 정치, 당내에선 세 대결 정치에 빠져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무수한 ‘러브콜’을 등에 업고 출발한 대권주자 윤 전 총장과 최 전 원장의 등판은 여론의 관심을 모았다. 특히 윤 전 총장은 처음 여론조사에 대권 후보로 등장한 지난해 1월 바로 적합도 ‘2위’에 자리매김한 후 1년 6개월 동안 뜨거운 관심과 기대를 한몸에 받았다. 최 전 원장은 문재인 정부의 ‘월성 1호기’ 감사를 진행하면서 강직한 모습을 보이며 차기 리더십 대안 주자로 눈도장을 찍었다.

대선판에 뛰어든 지 윤 전 총장은 두달여, 최 전 원장은 한달여가 흘렀다. 그러나 국민의힘 다른 대선주자들이 소속 경제·보육 공약 등을 내놓는 것과는 달리 두 사람에게선 제대로 된 정책이나 공약 발표가 감감무소식이다. 윤 전 총장은 지난 3월 검찰총장직 사퇴 후 약 4달간 잠행하며 정국 현안을 공부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등판 기자회견부터 제대로 된 현안 관련 답변을 내놓지 못했다. 이후 약 2달이 지난 현재까지도 내내 콘텐츠 부족과 정책 부재 비판이 나온다. 더욱이 120시간 노동, 부정식품, 집은 생필품이라는 등의 발언으로 여론 뭇매를 맞았다.

최 전 원장도 지난 4일 대권도전 선언식에서 쏟아지는 기자들의 각종 현안 질문에 “어려운 질문”, “준비된 답변이 없다. 정치를 시작한지 얼마 안 됐다는 걸 감안해주고 공부해서 좋은 정책을 내놓겠다”는 등 대부분 답을 내놓지 못했다. 이어진 여러 인터뷰에서도 현안 관련 질문에 곧바로 대답을 내놓지 못하면서 “아무런 준비없이 출마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그럼에도 콘텐츠보다는 당장 당내 자리매김과 호감도 높이기에만 집중하는 모습이다. 두 캠프는 앞다퉈 국민의힘 의원들을 영입하면서 본격 세 대결에 시동을 걸었다. 지난 6일 최 전 원장은 국민의힘 의원을 앞세운 캠프 주요 인선 44명을 발표했다. 윤 전 총장도 국민의힘 현역 의원을 상황실장으로 앉히고 추가 인선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현역 의원은 지역민들의 절대적 신뢰를 받고 있기 때문에 선거에서 역할이 막중하다”며 현직 의원들에 대한 적극적 영입 의사를 공개적으로 내비쳤다.

오랫동안 대선을 준비해 왔지만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하는 당내 주자들 사이에선 강한 비판 목소리가 나온다. 대권주자인 홍준표 의원은 지난 5일 “국정은 연습도 아니고 벼락치기 공부로도 안 되는 거다. 안 그래도 능력 안되는 A4 대통령을 이미지만 보고 뽑아 대한민국이 고생”이라며 “준비가 안되셨다면 벼락치기 공부라도 하셔서 준비가 된 후에 다시 나오라”고 일침을 놓았다.

유승민 전 의원도 “대통령이 되는 사람은 구름 위에서 정치만 하고 정책은 장관을 잘 뽑고 청와대 수석을 잘 뽑으면 되는 거라고 하는데 천만의 말씀”이라고 꼬집었다. 원희룡 전 제주지사도 “초등학교 선거도 공약 검증, 자질 검증을 하는 세상에 준비가 안된 상태에서 출마 선언하는 것은 국민에 대한 엄청난 무례”라고 했다. 이어 “청와대는 공부방이 아니다. 자질과 준비가 없다면 소신 없이 주변인들에게 휘둘리는 허수아비 대통령이 될 뿐, ‘꾼’들의 ‘꼭두각시’로 전락하기 십상”이라고 비판했다.

이하영 기자 hiyoung@seoul.co.kr
이하영 기자 hiyoung@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