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보선서 정권심판해야” 우세…서울 57%, 부산 55%

“재보선서 정권심판해야” 우세…서울 57%, 부산 55%

강주리 기자
강주리 기자
입력 2021-04-01 16:15
수정 2021-04-01 16: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 여론조사 결과

“국정운영 심판, 야당에 힘 실어야” 50%
“안정적 국정운영, 여당에 힘 실어야” 38%
이미지 확대
4ㆍ7재보궐 선거 지지호소하는 오세훈
4ㆍ7재보궐 선거 지지호소하는 오세훈 국민의힘 오세훈 서울시장 후보(왼쪽 두 번째)가 28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동문광장에서 열린 집중 유세에서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왼쪽 세 번째), 나경원 전 의원(오른쪽 첫 번째) 등과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2021.3.28 국회사진기자단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4·7 서울·부산시장 보궐 선거에서 국민 절반이 국정운영에 대한 심판을 위해 야당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여직원 성추행 사건으로 공석이 된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과 오거돈 전 부산시장 선거가 치러지는 서울과 부산에서는 응답자 평균보다 훨씬 높은 수준으로 정권심판론에 무게가 실렸다.

與 주지지층 40대 “국정안정” 52%
2030세대는 여야 지지 팽팽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 4개 여론조사 전문회사가 지난달 29일부터 31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1일 발표한 3월 5주차 전국지표조사(NBS·National Barometer Survey)에 따르면, 이번 보궐선거에 대한 인식을 묻는 질문에 ‘국정운영에 대한 심판을 위해 야당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정권심판론)는 응답이 50%를 기록했다.

반면 ‘안정적인 국정운영을 위해 여당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국정 안정론)는 응답은 38%를 기록하며 정부심판론보다 12% 포인트 낮았다.

일주일 전 조사와 비교하면 정권심판론은 2% 포인트 하락했고, 국정안정론은 4% 포인트 상승했다.

보궐 선거가 치러지는 서울과 부산에서 정권심판론은 훨씬 더 우세했다.

서울의 정권심판론은 57%(국정안정 32%), 부산을 포함한 부산·울산·경남 정권심판론은 55%(국정안정 31%)를 각각 기록했다.

국정안정론은 여권의 핵심 지지층으로 꼽히는 40대에서 높았다. 그 이상 고령층에서는 국정안정론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20대와 30대에서는 국정심판과 국정안정 여론이 엇비슷한 모습을 보였다.

연령대로 살펴보면 18~29세(정권심판 43%, 국정안정 43%), 30대(45%, 41%), 40대(38%, 52%), 50대(72%, 20%), 60대 이상(61%, 26%)로 조사됐다.
이미지 확대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상임선대위원장이 4.7재보궐선거 공식 선거운동 첫날인 25일 서울 구로구 구로디지털단지 지플러스타워 앞에서 열린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서울시장 후보 유세 출정식에서 연설을 하고 있다. 2021. 3. 25 김명국 선임기자 daunso@seoul.co.kr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상임선대위원장이 4.7재보궐선거 공식 선거운동 첫날인 25일 서울 구로구 구로디지털단지 지플러스타워 앞에서 열린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서울시장 후보 유세 출정식에서 연설을 하고 있다. 2021. 3. 25 김명국 선임기자 daunso@seoul.co.kr
중도층 “정권심판해야” 52%
“선거 뒤 야권 통합해야” 61%
이념성향별로는 중도층에서도 정권심판론이 52%(국정안정론 36%)로 나타났다. 진보층에선 국정안정론이 70%(정권심판 23%)로 앞섰고, 보수층에서 정권심판론이 76%로 국정안정론(14%)을 앞섰다.

민주당 지지자는 80%가 국정안정론에, 국민의힘 지지자는 94%가 정권심판론을 선택했다. 지지정당이 없는 층에서는 국정심판론이 48%로 25%의 정권안정론보다 23%p높았다.

보선 이후 예고된 야권 정계개편과 관련해 61%가 야권 통합에 찬성한다고 밝혔다. 반대는 23%로 조사됐다. 전 세대에서 야권통합에 찬성여론이 높았다.

보수지지층에서는 79%가 통합에 찬성했고 12%만이 반대했다. 진보지지층에서는 찬성 49%, 반대 35%를 기록했다. 중도지지층에서는 찬성 59%, 반대 23%로 나타났다.

민주당 지지층은 41%가 찬성했고, 반대는 36%로 조사됐다. 국민의힘 지지층은 88%가 찬성했고 반대는 6%에 불과했다. 지지정당이 없다고 밝힌 조사대상자 중 56%가 찬성했고 21%는 반대했다.

이번 조사는 국내 통신 3사가 제공하는 휴대전화 가상번호(100%)를 이용한 전화면접조사로 이뤄졌으며 응답률은 29.3%였다.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 포인트다.

신동원 서울시의원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 백사마을 주민 불이익 해소 위해 공정 보상 나서야”

서울특별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신동원 의원(노원1·국민의힘)은 지난 28일 제332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시정질문에서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공사) 황상하 사장을 상대로 백사마을 주택재정비사업 과정에서 드러난 이주대책·보상 문제를 집중 추궁하며, “주민 불이익을 신속히 해소하고 공정한 보상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신 의원은 “백사마을의 무허가주책 가옥주들은 수십 년간 해당 지역에 터를 잡고 살아온 고령층 및 저소득층 주민들이 대부분이다. 이들은 재개발 사업 앞에서 한없이 취약해지는 사회적 안전망의 사각지대에 놓인 대표적인 주거 약자”라고 강조했다. 이어 “백사마을은 주거지 보전지역 해제로 세대가 741세대 늘어나 사업성이 개선됐음에도, 무허가주택 가옥주들에 대한 입주권 기준일을 1981년으로 제한해 주민 불이익이 계속되고 있다. 타 재개발 지구처럼 형평성 있는 보상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 의원은 SH공사가 시행한 타 재개발 지구에서 임대아파트 입주권을 부여했던 사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백사마을 주민에게는 동일한 혜택을 적용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며 “백사마을 주민만 차별을 받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나며, 이는 명백한 불공정 사례”
thumbnail - 신동원 서울시의원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 백사마을 주민 불이익 해소 위해 공정 보상 나서야”

자세한 조사개요와 결과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이미지 확대
 손 들어 인사하는 박영선
손 들어 인사하는 박영선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서울시장 후보가 31일 서울 동작구 이수역 앞에서 열린 집중유세에서 시민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2021.3.31 국회사진취재단
이미지 확대
오세훈 국민의힘 서울시장 후보가 30일 오후 서울 영등포역 앞에서 열린 집중유세에서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2021. 3. 30 국회사진기자단
오세훈 국민의힘 서울시장 후보가 30일 오후 서울 영등포역 앞에서 열린 집중유세에서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2021. 3. 30 국회사진기자단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