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학용 “軍 대북·안보관, 간부 따로 장병 따로”

김학용 “軍 대북·안보관, 간부 따로 장병 따로”

입력 2017-09-03 10:46
수정 2017-09-03 10: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北은 적대 대상’ 인식, 간부 72.3% vs 장병 51.6%

군 간부와 장병들의 국가 안보에 대한 인식 차이가 갈수록 벌어지고 있고, 국방 의무에 대한 장병들의 인식이 매년 부정적으로 바뀌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3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김학용 의원이 한국국방연구원에서 제출받은 2016년 ‘장병 의식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적대해야 할 대상’이라는 응답이 군 간부는 72.3%에 달했지만, 장병은 51.6%에 그쳤다.

지난 2014년 같은 질문에 대해 군 간부와 장병의 응답률이 각각 56.0%, 52.5%였던 것과 비교해 인식차가 현저히 커졌다. 간부가 16% 포인트 오르는 동안 장병은 오히려 1% 포인트 줄었다.

현재 안보 상황이 ‘불안정하다’고 보는 시각 역시 군 간부는 54.5%, 장병은 38.3%로 차이가 컸다.

또한, 군 간부의 83.0%는 남북한 간의 국지적인 무력 충돌 가능성이 ‘있다’고 봤으나, 장병 사이에선 같은 답변이 66.6%에 그쳤다. 전면적인 무력 충돌 가능성에 대해서도 간부는 44.4%, 장병은 26.4%가 ‘있다’고 답했다.

한편, 국방 의무에 대한 장병들의 인식은 해마다 나빠졌다.

국방 의무가 ‘국민의 당연한 의무’라고 응답한 장병 비율은 2014년 59.6%, 2015년 49.8%, 2016년 48.7% 등으로 불과 2년 만에 10% 포인트 이상 떨어졌다.

같은 기간 국방 의무를 ‘가능하면 피하고 싶다’는 장병의 비율은 27.2%에서 34.3%로, ‘국방 의무를 규정한 것은 잘못’이라는 장병의 비율은 7.4%에서 12.0%로 각각 상승했다.

이번 보고서는 한국국방연구원이 작년 8월 3일부터 9월 2일까지 군별 간부 1천496명, 장병 2천80명을 대상으로 KIDA와 한국리서치를 통해 조사한 결과를 담고 있다.

김 의원은 “군 장병들의 대북관과 안보관이 매우 우려스러운 수준”이라며 “군의 투철한 안보관과 기강 확립은 국가 안보와 직결된다는 점에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