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경서 한적 회장 취임…“北 적십자와 조속 대화 희망”

박경서 한적 회장 취임…“北 적십자와 조속 대화 희망”

입력 2017-08-18 14:51
수정 2017-08-18 14: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박경서 대한적십자사(한적) 신임 회장은 18일 “북한 적십자사와 닫힌 마음을 풀고 서로 열린 마음으로 조속히 대화할 수 있기를 진정으로 희망한다”고 밝혔다.

박 회장은 이날 서울 중구 소파로 한적 본사 4층 강당에서 열린 제29대 한적 회장 취임식에서 “비록 지난 몇 년간 남북의 대화가 단절되었고 상호 신뢰가 크게 훼손되었지만 과거 남북 적십자는 인도주의 정신으로 신뢰 회복과 대화의 물꼬를 텄던 경험을 잘 알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대화를 통해 ‘한반도 인도주의 공동체’를 회복하여 전쟁 위협 없는 평화공존의 시대를 여는 것이 남북 적십자가 공동으로 수행해야 할 역사적 사명”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날 취임사에서 “1980년대부터 29차례에 걸쳐 북한을 방문했었고, 고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위원장을 직접 만나기도 했다”며 “2015년 11월에는 북한을 8일간 방문해 주민의 삶을 살펴보고 다양한 계층의 사람과 대화를 나눌 수 있었다”고 소개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경험을 통해 남북한이 이념과 체제의 차이로 분단되어 있지만 결국에는 한 민족으로서 하나가 될 것이라는 확신을 가질 수 있었다”면서 “남북협력과 분단 극복의 출발점은 인도주의 정신에 입각한 대화에 있다고 믿는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박 회장은 스위스 제네바 소재 세계교회협의회(WCC) 아시아국장으로 일하던 1982년 처음 적십자를 만났다며 이후 국제적십자사연맹과의 인연으로 르완다, 스리랑카, 미얀마 등 분쟁지역과 북한을 지원하며 ‘인도주의의 힘’을 직접 체험했다고 말했다.

그는 “적십자사의 다양한 인도주의 활동 못지않게 적십자사 회장으로서 중요한 책임은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라며 “국민의 눈높이에서 지구촌 어디서나 갈등, 폭력, 대결, 전쟁이 있는 곳에서 적십자 인도주의 가치가 지켜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박 회장은 지난 8일 한적 중앙위원회에서 회장으로 선출돼 16일 한적 명예회장인 문재인 대통령의 인준을 받았다.

전남 순천 출신의 박 회장은 서울대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괴팅겐대에서 사회학 석·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인도 센나이 한림원 명예 철학박사 학위와 스코틀랜드 에든버러대 명예 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국내 1세대 인권전문가인 박 회장은 2001년 대한민국 초대 인권대사에 임명돼 2007년까지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에서 인권대사직을 수행했다.

신동원 서울시의원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 백사마을 주민 불이익 해소 위해 공정 보상 나서야”

서울특별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신동원 의원(노원1·국민의힘)은 지난 28일 제332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시정질문에서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공사) 황상하 사장을 상대로 백사마을 주택재정비사업 과정에서 드러난 이주대책·보상 문제를 집중 추궁하며, “주민 불이익을 신속히 해소하고 공정한 보상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신 의원은 “백사마을의 무허가주책 가옥주들은 수십 년간 해당 지역에 터를 잡고 살아온 고령층 및 저소득층 주민들이 대부분이다. 이들은 재개발 사업 앞에서 한없이 취약해지는 사회적 안전망의 사각지대에 놓인 대표적인 주거 약자”라고 강조했다. 이어 “백사마을은 주거지 보전지역 해제로 세대가 741세대 늘어나 사업성이 개선됐음에도, 무허가주택 가옥주들에 대한 입주권 기준일을 1981년으로 제한해 주민 불이익이 계속되고 있다. 타 재개발 지구처럼 형평성 있는 보상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 의원은 SH공사가 시행한 타 재개발 지구에서 임대아파트 입주권을 부여했던 사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백사마을 주민에게는 동일한 혜택을 적용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며 “백사마을 주민만 차별을 받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나며, 이는 명백한 불공정 사례”
thumbnail - 신동원 서울시의원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 백사마을 주민 불이익 해소 위해 공정 보상 나서야”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