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30일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발사대 추가 반입 사실을 뒤늦게 확인하고 진상 조사를 지시하자, 국방부는 이미 보고한 사항이라고 반박했다. 이번 사건이 엉뚱하게 청와대와 국방부 간 진실공방으로 번지고 있다.
이날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국방부는 지난 25일 국정기획자문위 업무보고에서 국내에 발사대 4기가 추가 보관돼 있는 상황을 보고하지 않았다”며 보고 누락 사실을 지적했다.
새 정부 인수위 격인 국정기획자문위원회 박광온 대변인도 대통령 지시 사항에 대한 청와대 브리핑이 끝나자마자 기자간담회를 열어 국방부가 발사대 4기 반입을 당시에 보고하지 않았고, 공식 업무 보고 문서에도 기록이 남아있지 않다고 밝히며 지원 사격에 나섰다.
하지만 국방부 관계자는 “국방부 국방정책실장이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새로 임명되면서 지난 26일 국방 주요 현안을 보고했다”면서 “그때 발사대 4기가 추가 반입되어 있다는 사실을 보고했다”며 정반대의 주장을 폈다.
이에 청와대는 다시 브리핑을 열어 국방부의 주장은 사실이 아니라고 못을 박았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지난 26일 국방부 정책실장이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1·2차장에게 보고했으나 사드 4기의 추가반입 보고 내용은 없었다”고 말했다. 또 “제가 안보실장과 1·2차장을 각각 따로 만나 확인했지만, 전혀 들은 바 없다는 일치된 답이었다”면서 “국방부 정책실장이 안보실 보고 당시 보고서가 있었지만 그 보고서에도 그런 내용이 전혀 없었다”고 밝혔다. 이어 “안보실장이나 국정기획자문위에서도 사드 추가반입에 대한 내용을 전혀 보고받은 바가 없다”고 덧붙였다.
이번 일을 ‘보고 누락으로 볼 건가, 허위 보고로 볼 건가’란 질문에 이 관계자는 “그 부분은 좀 더 조사해 봐야 한다”고 답했다.
사드 4기 추가 배치를 최초로 인지한 시점, 보고받지 않고도 배치 사실을 인지하게 된 경위 등에 대한 질문이 쏟아졌으나 이 관계자는 “말씀드릴 수 없다”고 말을 아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이날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국방부는 지난 25일 국정기획자문위 업무보고에서 국내에 발사대 4기가 추가 보관돼 있는 상황을 보고하지 않았다”며 보고 누락 사실을 지적했다.
새 정부 인수위 격인 국정기획자문위원회 박광온 대변인도 대통령 지시 사항에 대한 청와대 브리핑이 끝나자마자 기자간담회를 열어 국방부가 발사대 4기 반입을 당시에 보고하지 않았고, 공식 업무 보고 문서에도 기록이 남아있지 않다고 밝히며 지원 사격에 나섰다.
하지만 국방부 관계자는 “국방부 국방정책실장이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새로 임명되면서 지난 26일 국방 주요 현안을 보고했다”면서 “그때 발사대 4기가 추가 반입되어 있다는 사실을 보고했다”며 정반대의 주장을 폈다.
이에 청와대는 다시 브리핑을 열어 국방부의 주장은 사실이 아니라고 못을 박았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지난 26일 국방부 정책실장이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1·2차장에게 보고했으나 사드 4기의 추가반입 보고 내용은 없었다”고 말했다. 또 “제가 안보실장과 1·2차장을 각각 따로 만나 확인했지만, 전혀 들은 바 없다는 일치된 답이었다”면서 “국방부 정책실장이 안보실 보고 당시 보고서가 있었지만 그 보고서에도 그런 내용이 전혀 없었다”고 밝혔다. 이어 “안보실장이나 국정기획자문위에서도 사드 추가반입에 대한 내용을 전혀 보고받은 바가 없다”고 덧붙였다.
이번 일을 ‘보고 누락으로 볼 건가, 허위 보고로 볼 건가’란 질문에 이 관계자는 “그 부분은 좀 더 조사해 봐야 한다”고 답했다.
사드 4기 추가 배치를 최초로 인지한 시점, 보고받지 않고도 배치 사실을 인지하게 된 경위 등에 대한 질문이 쏟아졌으나 이 관계자는 “말씀드릴 수 없다”고 말을 아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