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반기문 측 “지금 특정정당 안간다…자연스레 연대 형성”

반기문 측 “지금 특정정당 안간다…자연스레 연대 형성”

입력 2017-01-12 10:09
업데이트 2017-01-12 1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상일 “새누리당·민주당에 들어갈 가능성은 없다”

오준 “潘 정치성향 ‘보수’ 아닌 것 같아…조카 기소엔 거듭 사과할 것”

이미지 확대
뉴욕 생활 청산하고 귀국길에 오르는 반기문
뉴욕 생활 청산하고 귀국길에 오르는 반기문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11일(현지시간) 오후 1시 미국 뉴욕 JFK공항을 출발해 인천국제공항으로 향하는 아시아나항공 비행기를 타고 있다. 반 전 총장은 공항에서 한국 언론과 간단한 인터뷰를 한 뒤 유순택 여사 등과 함께 비행기를 탔다. 연합뉴스


유력 대선 주자인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12일 귀국하고 나서 가까운 시일 내 특정 정당과 손을 잡지는 않을 것이라고 반 전 총장 측이 밝혔다.

반 전 총장의 ‘실무 준비팀’에 소속된 이상일 전 의원은 이날 CBS 라디오에 나와 “반 전 총장이 특정 정당을 지금 선택할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며 “주요 정치 지도자들이 계시는데, 당분간 그분들과 만나서 어떤 연대를 도모하는 것 같지도 않다”고 전망했다.

반 전 총장이 나중에 정당에 들어가더라도 “새누리당의 많은 분들이 이탈한 상황이기 때문에 새누리당 안에 들어갈 가능성은 높지 않다”며 “(반 전 총장) 맹비판을 많이 했기 때문에 더불어민주당에 들어가는 건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 전 의원은 “대선 출마선언을 한다면 본인이 생각하는 미래 비전, 구상, 철학이 일종의 공약으로 분명히 국민 앞에 제시되는 게 먼저”라며 “그걸 통해 서로 생각을 공유하는 분들과 정치적 연대가 자연스럽게 형성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다만 “독자 창당을 하는 데는 쉽지 않은 문제들이 꽤 많이 있다”면서도 ‘반 전 총장을 중심으로 연대가 형성돼야 하느냐’는 질문에는 “그건 좀 오만한 생각이다. ‘내가 깃발을 꽂았으니 나를 중심으로 뭉치라’는 방식은 아니다”고 답했다.

반 전 총장이 귀국 이후 당분간 ‘민심 청취’ 행보를 하면서 공약을 가다듬고 대권 레이스에 나설 경우 기성 정치권과 연대를 모색하겠지만, 새누리당이나 민주당에 들어가는 방식은 선택하지 않으리라는 의미다.

이 전 의원은 “국민의당도 반 전 총장과 충분히 연대할 수 있다는 말씀도 하고 계시고, 바른정당 역시 마찬가지지 않느냐”며 새누리당과 민주당에서 갈라져 나온 이들 두 당에 대해선 가능성을 열어놨다.

반 전 총장의 동생 반기상 씨와 조카 반주현 씨가 뇌물 관련 혐의로 기소된 데 대해 이 전 의원은 “(반 전 총장이) 이유 여하를 불문하고 이런 일이 발생한 데 대해 국민께 송구스럽게 생각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유엔 사무총장으로서의 측근 관리는 국가 원수로서의 측근 관리와 단순 비교하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다”면서도 “그럼에도 죄송하다는 말씀을 하실 수밖에 없다”고 했다.

반 전 총장의 측근으로 꼽히는 오준 전 주(駐)유엔대사도 이날 MBC 라디오에 출연해 “(반 전 총장이) 이 문제가 처음 불거졌을 때 본인도 놀랐고 당혹스럽게 생각한 것으로 기억한다”고 회고했다.

오 전 대사는 “기소된 주현 씨 자신도 당시 ‘반 총장에게 뭘 요청하거나 그런 적이 없다’고 얘기했고, 반 전 총장 자신도 이 문제에 대해 알고 있었던 건 아니다”고 덧붙였다.

반 전 총장의 이념적 성향에 대해선 “유엔이 다루는 경제·사회 이슈들은 국내 정치적 관점에서 볼 때 중도쯤 된다. 유엔이 다루는 것은 잘 못사는 사람들, 개발도상국을 잘 살게 해주려는 노력, 탄압받고 소외당하는 사람들의 인권을 향상하려는 노력”이라며 “굳이 정치적 스펙트럼에서 보면 보수는 아닌 것 같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