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 특권 내려놓기 기구 주초 출범…15명 전원 외부인사로

국회의원 특권 내려놓기 기구 주초 출범…15명 전원 외부인사로

입력 2016-07-17 10:27
수정 2016-07-17 10: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대 국회 초반의 최대 화두로 떠오른 ‘국회의원 특권 내려놓기’를 구체화할 국회의장 직속의 자문기구가 이번 주 초에 출범한다.

17일 국회의장실 측에 따르면 특권 내려놓기 자문기구는 정세균 의장과 여야 각 당이 추천한 외부 전문가로 구성한다는 방침 아래 현재 인선 작업이 마무리 단계다.

정 의장이 4명을 추천하고 새누리당이 4명, 더불어민주당 4명, 국민의당 2명, 정의당 1명씩을 올려 총 15명으로 꾸리기로 했다. 정 의장이 더민주 출신임을 고려하면 사실상 4 대 11의 현격한 여소야대(與小野大)로 구성되는 셈이다.

원래 정 의장이 6명을 추천할 계획이었으나 국민의당과 정의당에 1명씩을 양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애초 이 기구에는 외부인사를 중심으로 하되 정치권 인사를 일부 참여시키는 방안도 거론됐으나, 정치권 자체의 특권 내려놓기를 다루는 만큼 외부의 객관적인 시각이 더 중요하다는 결론에 따라 학계와 시민사회 등으로만 구성키로 했다.

이 기구는 출범 후 국회의원에 부여된 각종 특권을 검토해 존속과 폐지, 수정 등 의견을 제시할 예정이다.

사안별로 보면 이미 여야 간 공감대가 형성된 것도 있지만, 논쟁이 예상되는 대목도 있다.

가령 불체포특권 폐지, 즉 국회의원 체포동의안이 국회 본회의에 보고된 지 72시간 동안 표결을 하지 못하면 자동 폐기되는 규정을 철폐하자는 것에 대해서 여야가 큰 이견이 없다.

그러나 면책특권의 경우 여당은 무책임한 허위 폭로나 명백한 허위 사실 유포 등 오남용을 방지하는 쪽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야권은 권력을 비판하고 정부를 견제하는 국회 고유의 기능이 제약될 수도 있다는 우려를 떨치지 못하는 분위기다.

이에 따라 사안에 따라서 여야 위원 간 입장이 맞서는 가운데 전체 구성이 여소야대인 만큼 야권 측 목소리가 더 크게 반영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도 나온다.

일단 이 기구는 국회의장 직속으로 설치되지만, 정 의장은 최대한 운영의 독립성을 보장하겠다는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위원장 선출을 비롯해 구체적인 활동 계획과 일정, 운영 방식 등도 자체적인 결정에 맡기겠다는 것이다.

다만 정 의장은 국회의원 특권 내려놓기 작업이 분위기가 조성됐을 때 빨리 마무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에서 조속한 결론을 내려 달라고 당부할 방침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