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배치> 주요 추진 일지

<사드배치> 주요 추진 일지

입력 2016-07-13 11:50
수정 2016-07-13 11: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부는 13일 미국의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사드·TAHHD) 배치지역을 경북 성주읍 성산리의 공군 방공기지인 성산포대로 최종 확정했다.

이에 따라 커티스 스캐퍼로티 전 한미연합사령관이 2014년 6월 3일 사드의 한반도 배치 필요성을 처음 제기한 지 2년 1개월 만에 사드 배치 지역이 최종 확정됐다.

다음은 사드의 주한미군 배치 관련 주요 일지.

◇ 2014년

▲ 6월 3일 = 커티스 스캐퍼로티 당시 한미연합사령관, 한국국방연구원(KIDA) 국방포럼 조찬 강연서 “사드, 한국 전개 요청했다”고 발언

▲ 6월 5일 = 미국 국방부 “한국 정부, 사드 관련 정보 요청했다”

◇ 2015년

▲ 2월 4일 = 창완취안(常萬全) 중국 국방부장, 한중 국방장관회담서 사드 우려 표명

▲ 3월 9일 = 국방부 “사드 구매 계획 없다…독자 방어체계 구축”

▲ 3월 11일 = 청와대, 사드 관련 ‘3No’(요청·협의·결정 없음) 입장 재확인

▲ 3월 26일 = 북한 외무성 “사드는 선제공격용” 비난

▲ 4월 10일 = 애슈턴 카터 미 국방장관, 한미 국방장관회담서 “사드 배치 논의 단계 아니다”

▲ 4월 17일 = 미 태평양사령관, 상원 청문회서 “한반도에 사드 포대 배치 논의 중”

▲ 5월 21일 = 국방부 “미국이 요청하면 사드 배치 협의할 것”

▲ 5월 31일 = 쑨젠궈(孫建國) 중국군 부총참모장, 한민구 장관과 양자회담서 사드 배치 우려 표명

▲ 10월 30일 = 미 록히드 마틴 “한미 사드 배치 공식·비공식 논의 중”

▲ 10월 31일 = 미 록히드 마틴 “양국 정부간 논의 알지 못해” 입장 번복

◇ 2016년

▲ 1월 6일 = 북한, 4차 핵실험

▲ 1월 13일 = 박근혜 대통령, 신년 대국민 담화 및 기자회견서 “안보·국익 따라 사드 배치 검토”

▲ 1월 22일 = 미 전략문제연구소, 사드 한반도 배치 권고.

▲ 1월 25일 = 한민구 국방장관 “군사적 관점서 사드 배치 검토 필요”

▲ 1월 31일 = 미 태평양사령관 “사드 배치, 한미동맹이 결정할 사항”

▲ 2월 7일 = 한미, 북한 장거리 미사일 발사 직후 사드 배치 공식 협의 결정 발표

▲ 2월 9일 = 러시아, 한국대사 불러 사드 한반도 배치 우려 표명

▲ 2월 11일 =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 독일 뮌헨 안보회의서 윤병세 외교부 장관에 사드 배치 논의 불만 표출

▲ 2월 15일 = 중국 외교부, 사드 한반도 배치 “결연한 반대”

▲ 2월 17일 = 중국 외교부, 사드 한반도 배치 계획 철회 요구

▲ 2월 22일 = 국방부 “공동실무단 구성·운영 협의 진행 중” 발표

▲ 2월 23일 = 한미, 공동실무단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약정 체결 돌연 연기

▲ 2월 23일 = 추궈훙(邱國洪) 주한 중국대사,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비상대책위 대표 만나 “사드 배치 한중관계 파괴” 발언

▲ 2월 24일 = 존 케리 미 국무장관, 왕이 중국 외교부장과 회담 “북한 비핵화시 사드 필요 없다” 발언

▲ 2월 29일 = 미 국무부 “사드 한반도 배치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제재는 별개 문제”

▲ 3월 2일 = 류제이(劉結一) 유엔 주재 중국대사,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 채택 자리서 “사드 한반도 배치 반대” 발언

▲ 3월 4일 = 사드 배치 논의 위한 한미공동실무단 약정 체결 및 공식 출범

▲ 3월 11일 = 중국·러시아 외무장관 “사드 한반도 배치, 중·러 안전 위협”

▲ 3월 22일 = 애슈턴 카터 미 국방장관 “사드 배치 원칙적 합의 하에 논의 중”

▲ 3월 31일 =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미중 정상회담서 “사드 한국 배치 단호히 반대”

▲ 4월 20일 = 빈센트 브룩스 한미연합사령관 지명자, 미 상원 군사위 인준청문회서 “사드, 다층방어체계 구축에 기여할 것”

▲ 4월 29일 = 중국·러시아 외무장관 “사드 배치는 긴장 상황에 기름 붓는 격”

▲ 6월 4일 = 한민구 국방장관, 아시아안보회의서 “사드 배치 의지 분명히 갖고 있어”

▲ 6월 5일 = 쑨젠궈 중국군 부총참모장 아시아안보회의서 “사드 한국 배치 반대”

▲ 6월 7일 =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 “한반도 사드 배치 지지”

▲ 6월 17일 = 미 태평양함대사령관, 연합뉴스 인터뷰서 “사드는 방어용, 반대론 이해할 수 없어” 발언

▲ 6월 24일 = 한민구 국방장관, 기자간담회서 “사드로 무수단 미사일 요격 가능 평가”

▲ 6월 28일 = 한민구 국방장관, 국회 법사위 회의서 “한미 사드 배치 협상, 올해 안에 결론 날 것”

▲ 7월 5일 = 국방부 “사드 배치 시기·지역 아직 결정 안 돼”

▲ 7월 8일 = 한미, 사드배치 결정 공식 발표

▲ 7월 9일 = 北, 사드 배치 발표 하루 만에 동해서 SLBM 1발 발사

▲ 7월 11일 = 北 포병국 “사드 위치 확정 시각부터 물리적 대응조치 실행”

▲ 7월 11일 = 北 외무성 대변인 “사드 배치, 주변국 직접 겨냥한 것 자명”

▲ 7월 12일 = 황교안 국무총리 “사드 배치, 국회 비준동의 필요한 사안 아냐”

▲ 7월 13일 = 국방부, 사드배치 부지 공식발표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