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끝없는 소용돌이…주류·비주류 강대강 대치·분열 심화

野 끝없는 소용돌이…주류·비주류 강대강 대치·분열 심화

입력 2015-12-07 13:27
업데이트 2015-12-07 13: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비주류, 당무거부 이어 사퇴도 검토…대책회동서 文 결단 촉구文, 혁신전대 수용불가 기류 속 ‘제3의 대안’ 수용 시사’분열현실화’ 우려 속 중진 “관망만 않겠다” 중재안 마련 착수

새정치민주연합은 7일 안철수 전 공동대표의 칩거 돌입을 계기로 주류와 비주류 간 대립이 극한으로 치닫고 있다.

안 전 대표가 전날 문 대표를 향해 ‘혁신 전당대회’ 개최를 재차 요구하며 칩거에 들어가자 비주류가 당무 거부 카드 등을 꺼내든 데 이어 당직사퇴 카드도 만지작하면서 주류를 겨냥한 전방위 공세를 나섰다.

비주류인 이종걸 원내대표와 주승용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 불참하며 당무를 거부했다. 지난 4일 주 최고위원이 시작한 최고위 불참에 이 원내대표까지 가세한 것이다. 두 사람은 전날 밤 회동해 대응책을 협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주 최고위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문 대표가 어떤 식으로든 안 전 대표를 붙잡아야 한다”며 “타협안이 나오지 않는다면 최고위원직에서 사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 원내대표도 기자들과 만나 당무 거부를 계속할 것인가에 대해 뚜렷한 답변을 하지 않았지만 “추운 겨울에 문 대표가 따뜻한 외투를 안 전 대표에게 입혀줘야 한다. 많은 걸 갖고 있는 분이 더 많이 내려놓아야 한다”고 문 대표를 압박했다.

비주류 모임인 ‘민주당의 집권을 위한 모임’(민집모)도 오찬 회동을 갖고 당무거부 및 당직사퇴 등 대응방안을 협의하면서 문 대표의 결단을 촉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박지원 전 원내대표는 SBS 라디오에 나와 “지금 현상대로 가면 당도 죽고 문재인도 죽는 것”이라며 “당도 살리고 자신도 살리는 길이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문 대표의 사퇴를 재차 촉구했다.

박 전 원내대표는 주변에서 탈당 권유가 많다고 전한 뒤 “이런 상태가 한없이 계속된다면 저도 어떠한 결정을 할 때가 올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탈당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다.

문 대표 측은 내부적으로 혁신전대 수용불가가 이미 결론이 난 사항이어서 수용 쪽으로 돌아설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입을 모으지만 오히려 문 대표는 전격적인 타협의 가능성을 비치고 있다.

문 대표는 안 전 대표의 혁신전대 제안에 대해 “오늘도 대답을 드리기가 난감하다”면서도 “지금 필요한 것은 우리가 함께 손을 잡고 단합하고 협력하는 것이다. 그런 방안이 모색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혁신전대 수용은 힘들지만 문·안·박(문재인·안철수·박원순) 임시지도체제처럼 큰 분열과 출혈없이 관계회복을 모색할 수 있는 방안이라면 검토해볼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런 가운데 이날 최고위에서는 안 전 대표가 요구한 ‘10대 혁신안’을 당헌·당규로 확정하기 위해 9일 당무위, 14일 중앙위 개최를 추진하는 등 안 전 대표의 탈당 명분을 차단하기 위한 작업에도 나섰다.

또 최고위원직을 사퇴한 오영식 의원의 공석을 메우기 위한 규정 개정에 나서는 등 현행 체제로 내년 총선 공천을 준비하기 위한 작업에 속도를 내는 양상이다.

당의 중진과 중간지대에 속한 인사들은 안 전 대표의 탈당이 총선에 치명적인 야권 분열로 귀결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하며 또다시 중재안 마련에 나서고 있다.

이석현 국회부의장은 “평행선을 달리는 문·안 두 사람에게만 맡겨서는 도저히 해결이 안되는 상황”이라며 “더이상 어물어물 관망만 해선 안되고 주중 구체적인 안을 제시해 두 사람을 압박해야할 상황이라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중진들은 문·안을 포함한 조기 선거대책위를 만들어 선대위에 실권을 주는 방안, 문·안이 2선후퇴하고 비대위를 구성하는 방안을 검토했지만 새로운 중재안을 마련키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