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설특검법 무시한 별도 특검 주장은 어불성설”
새누리당은 23일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의 2007년 특별사면 논란과 관련한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의 기자회견에 대해 책임 전가만 있을 뿐 의혹에 대한 해명이 충분치 못했다고 비판했다.박대출 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에서 “사면은 대통령 고유권한인데 법무부에 떠넘기는 것은 무책임한 책임전가”라며 “더욱이 두 차례의 특사에 대해서는 제대로 해명도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박 대변인은 그러면서 “이명박 전 대통령 측의 얘기가 문 대표의 주장과 상충하는 만큼 확인을 위해서라도 국정조사가 필요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문 대표가 자신들은 더러운 돈 받지 않았다고 못 박았는데 근거도 대지 않았다”면서 “다른 사람은 몰라도 문재인 대표만은 부패정당 운운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비판했다.
박 대변인은 이어 이른바 ‘성완종 리스트’ 관련 의혹에 대한 문 대표의 주장에 대해서도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의 진상 규명 의지를 아랑곳하지 않고 본격적인 수사에 들어간 검찰의 진정성을 외면하는 내용이었다”고 평가절하했다.
그러면서 “특검 도입과 관련해서는 새누리당이 먼저 제안한 것이니 환영하는 바이나 자신들이 선도적으로 도입한 상설특검법을 무시하고 별도의 특검을 하자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말했다.
김영우 수석대변인도 구두논평에서 “지금 문 대표가 할 일은 무리하게 성 회장의 사면을 강행한 노무현정부의 참회록을 쓰는 일”이라며 “특사의 배경과 과정을 국민 앞에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조해진 원내수석부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특별한 내용도 없고 해명도 별로 설득력이 없다”면서 “계속 의혹을 낳으니 방어적 차원에서 회견을 한 것 이상으로 아무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김무성 대표도 4·29 재·보궐선거 지원차 광주로 향하기 전 서울 용산역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문 대표가 특사 특혜 의혹과 관련, “더러운 돈 받고 사면 다룬 적 없다”고 한 것에 대해 “떳떳하면 그것에 대해 조사를 한 번 해보면 좋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