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7·30 재보선 후폭풍-힘 받은 靑·여권] 경제 살리기·국가 혁신 본격 드라이브… 黨·政·靑 공조도 강화

[7·30 재보선 후폭풍-힘 받은 靑·여권] 경제 살리기·국가 혁신 본격 드라이브… 黨·政·靑 공조도 강화

입력 2014-08-01 00:00
업데이트 2014-08-01 00: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향후 국정 운영 방향은

“국민 여러분께서 선택하신 뜻을 무겁고 소중하게 받들겠다. 경제를 반드시 살리고, 국가 혁신을 이루라는 엄중한 명령으로 듣고 이를 위해 더욱 매진하겠다.”
이미지 확대
꽃다발 든 새누리 당선자들
꽃다발 든 새누리 당선자들 새누리당 7·30 재·보궐선거 당선자들이 31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꽃다발을 들고 인사하고 있다. 왼쪽부터 홍철호(경기 김포), 김제식(충남 서산·태안), 이종배(충북 충주), 유의동(경기 평택을), 나경원(서울 동작을), 김용남(경기 수원병), 정미경(경기 수원을), 정용기(대전 대덕), 배덕광(부산 해운대·기장갑) 당선인.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특정 후보의 당선 소감일 법하지만 7·30 재·보궐선거 결과에 대한 31일 청와대의 공식 반응이었다. 민경욱 대변인을 통해 서면 브리핑을 내고 ‘선거의 의미’를 강조했다. 그도 그럴 것이 청와대는 그간 ‘세월호 정국’에서 서둘러 벗어나고자 애썼지만 계속되는 인사 실패 등으로 더욱 깊은 수렁에 빠져들며 국정 운영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어 왔다. 어려운 처지에서 얻은 이번 압승이 세월호 다음 단계로 나아갈 계단을 마련해 줬다고 청와대는 생각하고 있다. “막판 거듭되는 낙마 파동 속에서라도 최경환 경제팀을 출범시키고 경제 살리기를 사회에 화두로 내던진 것에 결과적으로 큰 도움을 받은 것 같다”고 여권의 한 인사는 진단했다.

청와대는 경제 살리기와 국가 개조 작업을 본격 가동하려 하고 있다. 2016년 총선까지 1년 8개월간 전국 단위의 선거가 없다는 점도 큰 기회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세월호의 아픔을 딛고 이제는 일해 달라는 국민적 요구가 반영됐다고 본다. 국가 혁신과 경제 살리기 등 국민이 원하는 방향으로 분발해서 갈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새누리당은 선거 압승의 여세를 몰아 당·정·청 삼각 공조 체제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기능화·활성화되지 않은 당·정·청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그동안 간헐적으로 진행된 당정협의를 정례화하고 청와대 참모진의 참석을 의무화하는 방안 등을 거론하고 있다. 당·청 관계도 재정립될 전망이다. 새누리당이 이번 선거에서 ‘박근혜 마케팅’ 없이도 압승을 일궈 냈고, ‘수평적 협력’을 당·청 관계의 목표로 제시한 김무성 당 대표가 여권 권력 지형의 전면에 나선 터다.

나아가 박근혜 정부가 국정 운영의 동력을 확보하고, 수평적 당·청 협력 관계를 요구해 온 김 대표 체제가 안착하는 시점에 ‘최경환 효과’로 상징되는 2기 경제팀에 대한 시장의 기대 등이 극대화된 호기를 이어 가겠다는 복안이다. 새누리당은 이날 “경제 활성화에 대한 국민의 기대를 확인했다”며 당·정·청 관계 회복을 토대로 서민경제 살리기, 국가 대개조에 드라이브를 걸 것임을 예고했다. 김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보수 혁신, 국가 혁신을 통해 민생 경제 살리기에 몸을 던지겠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2기 경제팀이 발표한 내년 예산안의 확장적 편성, 기업소득 환류세제 등 가계소득 증대 3대 패키지 정책의 입법화 등을 위해선 당·정·청 간 소통과 협조가 필수적이다. 9월 정기국회를 앞두고 입법 작업과 예산안 처리를 위한 당·정·청 협조 채널 가동이 활발해질 것임을 예고하는 대목이다.

이지운 기자 jj@seoul.co.kr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14-08-01 4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