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간첩사건 증거조작’ 정면충돌…선거영향은

여야 ‘간첩사건 증거조작’ 정면충돌…선거영향은

입력 2014-03-09 00:00
수정 2014-03-09 16: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與 “정치공세…검찰수사 지켜보는 게 도리”野, 특검도입 요구…”朴대통령 진상밝혀야”

’서울시 공무원 간첩사건’ 증거조작 의혹을 놓고 여야가 정면으로 충돌하면서 3개월도 채 남지 않은 6·4 지방선거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이번 사건은 검찰 조사를 받은 뒤 자살을 기도한 국정원 협력자 김모씨가 국정원으로부터 활동비와 함께 문서 위조 대가를 받기로 한 정황이 드러나면서 파장이 커지는 형국이다.

향후 검찰 수사 결과에 따라 이번 사건의 불똥이 어디로 튈지 모르고, 지방선거에도 변수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야당은 9일 현재 특검 도입과 남재준 국정원장 및 황교안 법무장관의 해임을 요구하면서 파상공세에 나섰고, 여당은 선거를 겨냥한 정치공세라고 일축하고 있다.

야권 통합신당 공동신당추진단장인 민주당 김한길 대표와 새정치연합 안철수 중앙운영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국정원이 민주주의와 사법질서를 뒤흔들며 민주주의 근본을 위협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박근혜 대통령은 지금이라도 진상을 명백히 밝히고 책임자를 처벌해 이러한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단호한 조치를 취해달라”며 박 대통령의 책임 있는 조치를 촉구했다.

김 대표와 안 위원장은 또 “검찰 수사로 부족하다면 정부 스스로 중립적 특검을 임명해 한 점 의혹을 남기지 않겠다는 자세를 가져야만 땅에 떨어진 신뢰를 회복할 수 있다”며 특검 도입을 거듭 주장했다.

이에 새누리당 윤상현 원내수석부대표는 기자간담회에서 “검찰에서 철저한 수사를 하고 있기 때문에 지금 특검이니 해임을 말할 단계가 아니다”면서 “국정원도 검찰 수사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고 하는 만큼 일단 검찰 수사를 지켜보는 게 도리이고 순서”라고 지적했다.

그는 “국정원이 만약 문서를 위조했으면 김모씨를 데려다가 검찰 조사를 받으라고 했겠느냐”고 반문했다.

함진규 대변인도 브리핑에서 “김 대표와 안 위원장의 기자회견은 여태껏 보여준 것처럼 정부·여당을 향한 정치공세의 연장선에 불과하다”면서 “특검을 요구하는 것은 사실 관계를 명확히 밝히고자 하는 검찰 수사에 찬물을 끼얹는 행동으로, 정치적으로 이용하겠다는 불손한 의도만을 그대로 보여준 것”이라고 비판했다.

정지웅 서울시의원 “북아현 3구역의 원활한 추진 위해 건축심의부터 다시 받아야”

서울시의회 정지웅 의원(서대문구1·국민의힘)이 북아현 3구역 재개발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관련법에 따라 건축심의부터 다시 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는 북아현 3구역 재개발에 대한 건축심의 효력이 상실됐기 때문이다. 건축법 제11조 제10항에 따르면 건축심의 결과를 통지받은 날부터 2년 이내에 건축허가를 신청하지 않으면 건축심의는 효력을 상실한다. 조합은 2023년 7월 11일 건축심의 완료를 통지받았다. 조합은 건축심의 완료 이후인 2023년 11월 30일 서대문구에 사업시행계획 변경인가를 신청했으나, 서대문구는 올해 5월 20일 조합에 이를 반려 통보했다. 서대문구는 사업시행계획서에 기재된 사업 기간이 총회 결의와 상이한 점을 문제로 봤다. 조합은 사업시행계획 변경인가가 반려되자 건축심의 유효기간 등 법적 검토를 하지 않고 서울시 행정심판위원회에 행정심판을 제기했다. 서대문구청의 반려 결정을 취소하고 인가 처분을 해달라는 취지였다. 그러나 서울시 행정심판위원회는 최종적으로 서대문구의 반려 처분이 정당하다고 판단했다. 정비 업계에 따르면 조합 측은 사업시행계획 변경인가를 다시 신청할 계획이다. 하지만 정 의원은 현행법상 북아현 3구역 재개발의 건축
thumbnail - 정지웅 서울시의원 “북아현 3구역의 원활한 추진 위해 건축심의부터 다시 받아야”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