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초선 의원들, 낙선자들이 방 빼주지 않자…

초선 의원들, 낙선자들이 방 빼주지 않자…

입력 2012-06-01 00:00
업데이트 2012-06-0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리석 치장에 너무 힘뺐나…‘디지털 먹통’ 제2의원회관

‘호화판’ 논란을 빚었던 국회 제2의원회관이 외관에만 치중했을 뿐 인터넷과 전화 등 기반시설은 ‘먹통’ 수준을 드러내고 있다. 임기 개시 이틀째인 31일 제1·2의원회관의 상당수 의원실은 전화와 팩스, 인터넷 등 기본적인 사무 인프라조차 깔리지 않았다. 사무용 집기조차 들어오지 않아 보좌진이 멍하게 서 있는 모습도 곳곳에서 눈에 띄었다. 초선 의원실의 한 보좌관은 “사무실 보좌진이 9명인데 컴퓨터가 4대밖에 오지 않았다.”며 황당해했다.

이미지 확대
‘호화 논란’을 빚은 국회 제2의원회관이 19대 국회 임기 시작 이틀째인 31일에도 인터넷과 전화 등 통신망을 갖추지 못하는 등 부실한 업무환경으로 빈축을 사고 있다. 한 통신설비업체 직원이 이날 통신망 설치 작업에 몰두하고 있다.  정연호기자 tpgod@seoul.co.kr
‘호화 논란’을 빚은 국회 제2의원회관이 19대 국회 임기 시작 이틀째인 31일에도 인터넷과 전화 등 통신망을 갖추지 못하는 등 부실한 업무환경으로 빈축을 사고 있다. 한 통신설비업체 직원이 이날 통신망 설치 작업에 몰두하고 있다.
정연호기자 tpgod@seoul.co.kr
의원회관 복도에는 쓰다 버린 집기들과 분리된 사무용 책상, 각종 책자들이 그대로 쌓여 있다. 의원실을 청소하면서 나온 쓰레기들도 간간이 눈에 띈다. 이삿짐·청소 용역업체 직원들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는 의원회관은 ‘공사 현장’을 방불케 할 정도로 어수선했다.

의원과 보좌진들은 “법안 구상과 각종 회의 등 의정활동을 할 공간이 준비가 안 돼 업무에 차질을 빚고 있다.”고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국회 사무처에 따르면 의원 1명과 보좌진 9명의 월급은 평균 4516만원. 의원 300명으로 환산할 때 하루 평균 4억 5160만원꼴로 국민의 ‘혈세’를 낭비하고 있는 셈이다.

왜 이런 일이 발생한 것일까. 여기에는 국회 사무처의 전형적인 ‘탁상행정’이 한몫했다. 사무처는 의원회관의 이사 수요가 몰릴 것을 예견하고도 지난 23일 준공식 이전에는 이사를 할 수 없도록 못 박았다. 교섭단체인 양당의 원내행정국과 국회의장의 최종 결재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것이 이유였다. 국회 사무처 관계자는 “국회의장의 결재는 의원실 배정이 100% 확정돼야 가능한데 준공식 이후인 25일까지도 결재가 나지 않은 상태였다.”면서 “24일부터 방이 확정된 재선 의원들 먼저 입주하도록 구두로 조치한 것이 그나마 다행”이라고 설명했다.

교섭단체인 양당 원내행정국의 ‘늑장 대응’도 문제였다. 국회 사무처는 5월 초 각 당의 원내행정국에 공문을 보내 17일까지 의원실 배정을 완료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나 새누리당 원내행정국은 “의원들의 여론수렴 등 배정 기준을 마련하려면 물리적으로 시간이 부족하다.”며 1주일가량 더 미뤘다. 원내행정국 관계자는 “각 정당의 내부 사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기한을 정한 사무처가 더 큰 문제”라며 사무처에 책임을 떠넘겼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구관인 제1의원회관에 뒤늦게 입주하게 된 초선 의원들의 불만은 폭발 일보 직전이다. 18대 국회 임기 마지막날인 29일까지 일부 낙선 의원들이 방을 비워 주지 않아 입주가 늦어진 데다 신축 의원회관에 들어가지 못한 상대적 박탈감까지 겹쳤다. 부산 지역의 한 초선 의원은 “일하는 국회를 만들어야 하는데 (국회가) 이런 모습을 보이면서 어떻게 정부에 잘하라고 할 수 있겠느냐.”면서 “국회 사무총장과 관련 직원들을 엄중 문책해야 한다.”고 격한 반응을 보였다.

황비웅기자 stylist@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