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권파 이정희에 맞서 柳·沈·魯 합종연횡 주목
통합진보당 당권을 둘러싼 당권파와 비당권파의 경쟁이 비례대표 부정선거 진상조사 결과가 나오는 다음 주부터 본격화될 전망이다.
부정선거 논란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기세를 몰아 당권파에 맞설 비당권파의 전열을 가다듬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당 쇄신이라는 명분이 서기 전, 비당권파가 섣불리 손을 잡을 경우 당권을 차지하려는 계파 간 세력다툼으로 비쳐질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현재 세력 구도로는 참여당과 진보신당 탈당파를 모두 합쳐도 당권파인 구민주노동당계를 뛰어넘지 못한다.
이들의 공통된 고민은 당권파 혁신이다. 총선 때 불거졌던 각종 논란과 잡음들이 대선 과정에서도 발생할 경우 총선에서 기대했던 성적을 내지 못한 것처럼 대선도 무너질 수 있다는 위기의식이 팽배하다. 참여당 출신의 한 관계자는 “당권파의 생각이 변하지 않는 이상 당 대표가 누가 되더라도 외형적으로 변하는 것은 없다.”고 강조했다.
유 공동대표는 직접 당 대표로 나서는 대신 심 대표 또는 노 대변인이 당권에 도전할 경우 이를 측면지원하는 역할을 맡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심 대표는 우선 대선 출마만 확정지었고, 노 대변인은 당권과 대선, 원내대표 도전 가능성을 모두 열어놓고 고민 중이다.
유 대표의 한 측근은 “본인이 당권 또는 대권에 나가는 게 당에 도움이 된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 ‘내가 직접 나가서 바꿔야겠다.’는 생각은 없는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총선 기간 여론조사 조작 파문으로 비난을 한몸에 받았던 이정희 공동대표도 쇄신이 필요하다는 당내 여론 때문에 선뜻 출마를 결정 짓지 못하는 분위기다. 당권파 관계자는 “당의 과제를 해결할 리더십을 구축하는 과정에 자기 자신이 절대적으로 필요한가, (당 대표 외에)다른 역할을 할 것인가 등을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이현정기자 hjlee@seoul.co.kr
2012-04-26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