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박근혜 리더십’ 본격 시험대에

한나라 ‘박근혜 리더십’ 본격 시험대에

입력 2012-01-02 00:00
수정 2012-01-02 10: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친이계-비대위원 ‘强대强’ 대치 해법 주목‘버핏세 반란’ 이후 쇄신파 개혁입법 추진에 대처 관심

한나라당 박근혜 비대위원장의 리더십이 시험대에 올랐다.

‘비상전권’을 행사하는 비대위가 올 4월 총선을 앞두고 ‘공천 물갈이’를 비롯한 인적ㆍ정책쇄신을 밀어붙이면서 일각에서 비대위원들의 자질을 문제삼는 등 강력한 반발이 가시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당장 내년 예산안의 처리과정에서 박 비대위원장의 제동에도 불구하고 ‘한국판 버핏세’가 도입된 것은 상징적인 대목이다. ‘3억원 초과’ 소득세 과표구간을 신설, 이 구간의 소득세율을 기존 35%에서 38%로 인상하는 소득세법 개정안이 지난해 12월31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것.

10ㆍ26 서울시장 보선 패배 이후 정책쇄신 차원에서 추진됐지만 박 비대위원장이 부정적 견해를 밝히면서 흐지부지됐던 이 안은 최근 정두언 의원을 중심으로 한 쇄신파의 ‘반란’으로 입법에 성공했다. 이 때문에 종합적 부자증세 방안을 총선 공약으로 제시하려던 박 비대위원장의 정책 구상에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쇄신파는 향후 대기업의 공공구매를 규제하는 중소기업제품구매촉진법 등 심의가 지지부진한 ‘보다 개혁적인’ 법안들의 입법도 적극 추진할 계획이어서 박 비대위원장이 어떤 입장을 내보일지 주목된다.

박근혜 리더십에 닥친 최대 ‘암초’는 김종인ㆍ이상돈 비대위원을 둘러싼 내홍 기류다.

친이(친이명박)계는 김종인 비대위원에 대해 과거 동화은행 뇌물수수 사건으로 유죄판결을 받은 점을, 천안함 관련 발언으로 논란에 휩싸인 이상돈 비대위원의 경우 당 정체성과 맞지 않다는 점을 들어 사퇴를 요구하고 있다. 두 사람이 ‘MB정부 실세 용퇴론’을 주장한 데 대한 강한 반발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당 일각에서는 향후 공천 과정에서 ‘힘겨루기’의 측면이 있다는 시각도 있다.

친이계 장제원 의원은 2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박 비대위원장이 사퇴 요구를 묵살하고 가면 의총소집 요구서를 제출하고, 그게 안되면 뜻을 같이하는 사람들이 모여 사퇴를 촉구하는 집단 성명을 발표할 수 있다”며 “두 비대위원 외에 다른 비대위원의 비리 폭로 가능성도 열어놓고 있다”고 압박했다.

이에 대해 김종인 비대위원도 라디오에 나와 “이른 시일 내 인적쇄신 결단을 하지 않으면 비대위를 만든 의미가 상실된다”면서 1월 말까지 변화가 없으면 사퇴할 수도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 등 ‘강대강’ 대치가 이뤄지는 형국이어서 박 비대위원장이 어떤 해법을 내놓을지가 초미의 관심사다.

이밖에도 박 비대위원장 자신에 대한 ‘의혹 해소’ 목소리에 어떻게 대응할지도 주목된다.

이준석 비대위원은 최근 라디오 인터뷰에서 “전직 대통령의 따님이고 그래서 의혹이라든지 이런저런 이야기 나오는 것들이 있다”며 “박 비대위원장이 신속하게 털고 가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박 비대위원장은 지금까지는 의혹 제기를 일축하는 분위기였지만, ‘깨끗한 정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확산하면 어떤 식으로든 공개적으로 입장 표명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연합뉴스

박춘선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부위원장,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 참석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박춘선 부위원장(강동3, 국민의힘)이 지난 20일 청계광장에서 열린 2025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에 참석해 시민들과 직접 만나 자원순환의 중요성과 실천의 가치를 나눴다. 이 행사는 박 부위원장이 시민 참여형 자원순환 문화 확산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제기해온 데 따라 마련된 대표 시민환경 프로그램이다. 행사가 펼쳐진 청계광장은 ▲자원순환 캠페인존 ▲에코 체험존 ▲에너지 놀이터존 ▲초록 무대존 등 네 개의 테마 구역에서 환경 인형극, 업사이클 공연, 에너지 체험놀이터, 폐장난감 교환소 등 다채로운 체험·놀이·공연 프로그램이 운영됐다. 시민들은 자원순환의 과정을 직접 보고, 듣고, 만들어보는 활동을 통해 새활용과 분리배출의 의미를 쉽고 재미있게 익혔으며, 자원순환이 일상의 작은 실천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음을 몸소 확인하는 시간을 가졌다. 박 부위원장은 축사를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도시의 변화는 시민 한 사람의 작은 실천에서 시작된다”며 생활속 실천활동의 중요성을 되짚었다. 또한 “줍깅 활동, 생태교란종 제거, 한강공원 가꾸기, 새활용 프로그램 등 시민과 함께 한 모든 실천의 순간들이 큰 변화를 만들어왔
thumbnail - 박춘선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부위원장,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 참석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