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봉화 4년 만에 또다시 ‘돈 선거’ 망신살

경북 봉화 4년 만에 또다시 ‘돈 선거’ 망신살

입력 2010-03-19 00:00
수정 2010-03-19 10: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경북 봉화군이 4년 만에 재발한 돈 선거 여파로 또다시 망신살이 뻗쳤다.

 봉화경찰서는 올해 초 봉화군 모 농협조합장 선거를 앞두고 출마예정자로부터 돈을 받은 혐의(농업협동조합법 위반)로 봉화지역 주민 등 249명을 불구속 입건했다고 19일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이들은 출마를 앞두고 있던 우모(64.구속)씨로부터 한 사람당 적게는 5만원,많게는 60만원씩 등 모두 7천만원이 넘는 돈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문제의 농협 조합원 전체가 510명인 것을 고려하면 조합원 절반 가량이 돈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는 셈이다.

 돈 받은 사람 중에는 조합원 뿐 아니라 공무원과 농협직원,마을이장도 끼어 있어서 조합장 선거와 관련한 돈 살포가 무차별적으로 이뤄졌음을 알 수 있다.

 봉화지역이 돈 선거에 휘말린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4년 전인 지난 2006년 5.31 지방선거 때 군수 당선자측에게서 돈을 받은 주민들이 무더기로 사법처리돼 지역 사회는 물론 전국적인 망신을 샀다.

 당시 군수 당선자측으로부터 10만~20만원씩 돈을 받은 혐의로 주민 130여 명이 무더기로 기소돼 모두 30만~50만원의 벌금형을 선고받았고 받은 돈도 추징당하는 수모를 겪었다.

 그 당시 봉화군 전체에 5천만원 가까운 ‘돈 폭탄’이 떨어졌다고 해서 유권자 의식 수준과 관련해 전국적으로 망신을 당했지만 이번 농협 조합장 돈 선거는 그 때보다도 액수도 많고 연루자도 더 많아 ‘기록 경신’이라는 조롱까지 받고 있는 상황이다.

 그 때나 지금이나 돈을 받은 주민들은 “몇 번을 뿌리쳐도 돈을 쥐어주는 걸 어떡하느냐”라며 하소연하고 있다.

 그만큼 연고에 얽힌 농촌지역이 돈 선거 유혹에 얼마나 약한지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부패없는 투명사회를 지향하는 시대에 뒤처지지 않으려면 어떻게든 돈 선거의 악습은 뿌리를 뽑아야 한다는 여론이 점차 힘을 얻고 있다.

 더 이상 돈 선거로 지역 이미지가 훼손되면 부패없는 투명사회를 지향하는 시대에 살아남기 어려울 거라는 위기의식이 확산되는 분위기다.

 봉화에 사는 40대 주민 박모씨는 “지난 군수 선거 때야 순박한 농민들이어서 그렇다고 생각할 수 있었지만 또다시 이런 일이 생겼으니 뭐라고 할 말이 없다”라며 “어렵게 쌓아놓은 청정한 지역 이미지가 한 순간에 거품이 되지 않도록 모든 주민이 자정 결의를 해야 할 것 같다”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