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의 시대 인간의 시대] 석학이 미리 내다본 미래… 철학 없는 기술은 파국 뿐

[기술의 시대 인간의 시대] 석학이 미리 내다본 미래… 철학 없는 기술은 파국 뿐

입력 2012-07-18 00:00
수정 2012-07-18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세계적 지성 인터뷰로 본 기술과 미래

‘석학’(碩學)에 대한 사람들의 존경은 단순한 학문적 깊이 때문만은 아니다. 그들의 통찰력이 오늘을 살아가고, 내일을 살아갈 사람들에게 지침이 될 만한 비전과 방향을 제시해주기 때문이다. 각 분야에서 인정받는 석학들은 자신이 몸담고 있는 분야의 오늘과 미래를 어떻게 보고 있을까. ‘한국의 미래’ ‘新다빈치 프로젝트’ ‘유럽의 지성을 만나다’ 등 최근 몇년간 서울신문이 진행한 석학 인터뷰에서 지면에 소개되지 않았던 주요 발언들을 모아봤다.

이미지 확대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 과거는 왜 알아야 하는가.

-‘제국’, ‘다중’ 등을 저술해 현존하는 마지막 마르크스주의자로 불리는 이탈리아의 정치철학자 안토니오 네그리는 “어떤 개혁이나 혁명도 새롭게 만들어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과거는 분명히 의미가 있다”고 주장했다. ‘장미의 이름’의 움베르트 에코와 함께 1960년대 이후 이탈리아 사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학자로 평가받는 그는 “과거는 지나간 것이 아니라 삶과 함께 흘러가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모든 학문과 연구의 출발이 되는 발상 자체는 언제나 과거에서 빌려왔다는 설명이다.

→인류가 개발한 기술은 누구의 것인가.

-매사추세츠공대(MIT) 미디어랩을 창설한 니컬러스 네그로폰테 교수는 기술을 어떻게 사용하느냐가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그는 자신이 몇 년째 노력하고 있는 100달러 노트북 컴퓨터 보급을 예로 들었다. 네그로폰테 교수는 “100달러 노트북이 보급되기 시작한 이후에 어느 한 기업이라도 제조에 쓰인 기술특허를 무기로 내세워 지분을 요구한다면 프로젝트 자체가 진행될 수 없었을 것이다.”면서 “기술을 사고팔지 않겠다는 생각조차 그 기술을 가진 사람만이 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결국 그 기술을 가진 사람이 철학을 갖고 있다면 인류는 함께 행복해질 수 있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파국도 예상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정보기술(IT)은 어디까지 발전할까.

-코펜하겐 미래학연구소장을 역임한 롤프 옌센 드림소사이어티 대표는 “IT기술의 발전이 어떻게 될지를 지켜보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라고 말했다. 옌센 대표는 “컴퓨터가 점차 작아지고, 어디서나 인터넷을 통해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사회가 됐지만 아직까지 기술은 계속 발전하고 있다.”면서 “다만 IT기술이 과거처럼 기술 위주로 발전하게 될지는 의문”이라고 강조했다. 더욱 많은 정보를 담는 것보다는 더 정확한 정보를 담는 것이 중요해지고, 길거나 용량이 큰 글보다는 오히려 더 짧은 글을 담는 서비스가 힘을 얻고 있는 것은 단순히 기술의 발전으로만 예측할 수 없는 부분이라는 것이다.

→미래 도시는 어떻게 변할까.

-‘위대한 미래’의 저자인 미래학자 마티아스 호르크스 박사는 “현재 도시는 초거대도시인 메가시티(Megacity)를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인적, 물질적 자원이 집중된 거대 도시가 주변 도시를 빠르게 흡수하면서 커지는 추세가 당분간 계속된다는 전망이다. 그러나 그 이후의 모습에 대해서는 ‘그리노폴리스’(Greenopolis)라는 용어를 내세워 설명했다. 호르크스가 주장하는 그리노폴리스는 도시 안에서 생산과 소비가 모두 가능하고 스스로 순환한다. 그는 “현재 도시가 산업화의 결과로 안고 있는 수많은 문제를 자연이 치유하고 발전시킬 것”이라고 설명했다.

→인류를 위한 미래에너지는 무엇인가.

-‘환경운동의 스승이자 석유기업의 가장 강력한 적’으로 불리는 레스터 브라운 지구정책연구소장은 “개발보다는 효율이 극대화된 에너지를 찾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무조건적인 대체에너지 개발보다는 발상의 전환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는 “전 세계의 전구를 모두 소형 형광등으로 바꾸는 것만으로도 에너지가 12%나 절감된다”며 “이는 시스템의 변화가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고 강조했다. 브라운 소장은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서 물 같은 다른 무언가를 소모해야 한다면 지속가능하지 않은 것”이라며 “성장보다는 지속 가능성에 초점을 맞춘 에너지가 진정한 미래에너지”라고 강조했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12-07-18 4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