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커버스토리] 위기의 활자매체, 미래는

[커버스토리] 위기의 활자매체, 미래는

입력 2013-01-19 00:00
업데이트 2013-01-19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디지털 홍수 속 종이신문·종이책의 푸념

몇 년 전 작가들과의 출장길. 기자와 작가들이 신나게 떠드느라 바빴다. 그 와중에 동승하게 된 외국인 몇 명. 자리 잡고 앉자마자 저마다 가지고 온 신문, 잡지, 책을 척 펴든다. 낮에는 다들 분노했다. “저런 행위는 관광의 기본 자세에 어긋난다”는 규탄이었다. 저녁 자리에 모여서는 다들 한숨만 폭폭 내쉬었다. 솔직히 부러웠다. 요즘 신문 사서 보는 사람이 어디 있느냐, 시집 따위를 누가 사 보느냐, 잘 썼다고 밀어붙였는데 초쇄 2000~3000부조차 소화를 못 했다는 소리에 기죽어 지내던 기자와 작가들이었으니 말이다.

정제된 지식의 보고였던 신문·출판 산업의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활자매체의 몰락이 현실화될까 하는 우려다. 어제오늘 일은 아니다. 디지털 혁명에 대한 전망이 난무하던 1990년대부터 나온 예상이었다. 인쇄매체는 디지털 혁명에 적응하지 못한 일부 노년층을 위한 매체로 전락할 위험이 크다는, 그래서 활발한 소비층을 선호하는 광고주 입장에서 가장 매력 없는 매체가 될지 모른다던 예측 말이다. 신문사가 신문활용교육(NIE)을 외치고, 출판사가 세계문학전집을 내놓는 이유도 어쩌면 여기에 있을는지 모른다.

신문의 위기는 현재진행형이다. 일간지 구독률은 2001년 51.3%에서 2011년 24.8%로, 열독률 역시 69.0%에서 44.6%로 추락했다. 해외에서도 우울한 소식이 들린다. 지난해 미국의 시사주간지 뉴스위크는 인쇄판 출간 포기를 선언했다. 상대적으로 우리 귀에 익은 매체여서 화제였을 뿐 뉴스위크보다 앞서서 미국과 유럽에서 인쇄판을 포기한 매체들은 많다. 아직 한국에서 이런 상황은 없지만 더 위험할 수도 있다. 해외 매체는 오프라인을 포기하는 대신 온라인 유료화 전략이라도 구사할 수 있지만 포털 중심의 한국은 이마저도 여의치 않다.

출판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온라인 서점을 통한 할인 행사가 일상화되다 보니 출판 생태계 붕괴에 대한 경고음이 지속적으로 울려 퍼졌다. 가장 큰 경고음은 책 출간 부수 자체의 감소다. 연도별 출고 동향을 보면 2009년 4.2% 증가를 끝으로 2010년 -9.0%, 2011년 -7.2%, 2012년 -12.3%를 기록했다. 내놓는 책 자체가 지속적으로 줄고 있는 데다 그나마 내놓는 것도 손쉬운 번역 출판이다. 2011년 기준으로 신간 가운데 번역서 비중은 26.1%, 단행본 및 베스트셀러에서 번역서 비중은 50%에 이른다.

전문가들은 다른 의견을 내놓기도 한다. 김위근 언론진흥재단 연구위원은 “신문산업의 위기는 신문산업 전체의 위기라기보다 종이 신문에 한정된 위기”라며 “스마트폰 환경이 되면서 오히려 뉴스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신문은 활로를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외국 사례지만 뉴욕타임스가 온라인 뉴스 유료화를 재차 강행했는데 성과가 나쁘지 않은 것도 희소식이다. 출판업계에서 30여년 몸담은 강무성 열린책들 주간은 “출판에 최적화된 콘텐츠를 확보한다면 종이 책은 살아남을 것”이라고 확신했다. 신문·출판 산업에 대한 국가 차원의 지원 방안에 대한 요구가 높다. 현장의 얘기를 들어 봤다.

조태성 기자 cho1904@seoul.co.kr

2013-01-19 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