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는 자동차가 많은 큰 도로에서 주로 발생할까? 아니다. 교통사고의 절반 이상은 폭 9m 미만의 좁은 이면도로(생활도로)에서 일어난다. 이면도로에서 발생하는 자동차 사고는 ‘차’와 ‘사람’ 사이의 사고가 많아 사망으로 이어질 확률도 그만큼 높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지난해 교통사고를 분석해 보면 전체 교통사고 23만 2035건 가운데 이면도로 사고가 12만 3760건으로 절반 이상(53%)을 차지했다. 교통사고 사망자 4621명 가운데 56%에 해당하는 2586명은 이면도로에서 일어난 사고로 목숨을 잃었다.
이면도로 사고는 증가세에 있다. 최근 3년간 도로 차로폭에 따른 교통사고 집계를 보면 2013년에는 9m 이하 도로에서 발생한 사고가 11만 5523건이었다. 2014년에는 11만 7601건으로 늘었고 지난해에는 12만 3760건으로 증가했다. 2년 전보다 6.6% 증가했다.
차로 폭을 기준으로 구간별 교통사고 발생 건수나 사망자 수를 분석하면 3~6m 도로에서 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고 사망사고자도 가장 많았다.
일반적으로 차로 폭은 3.5m 안팎이다. 제대로 된 왕복 2차로라면 갓길(길어깨)과 중앙분리선을 포함해 11m 정도는 확보해야 한다. 차로 폭이 3~9m인 이면도로는 갓길이 없는 2차로이거나 차로 구분 없는 2차로 길이다. 또는 2차로를 구분할 수 없는 교행 도로이거나 차 한 대가 지나갈 정도의 도로다.
도심 마을버스가 다니는 길이나 골목길 대부분이 이면도로다. 이런 곳에는 교통안전 시설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과속방지턱이 설치됐거나 곡선길에 반사경 하나 설치한 것이 교통안전 시설의 전부다. 위법을 따지기도 쉽지 않아 눈치껏 양보하고 피해 다녀야 하는 길이다.
이런 도로를 이용하는 차들은 의외로 많다. 주민들의 차량은 물론 택배 차량, 각종 작업차량, 오토바이 등이 끊임없이 다닌다. 보행자도 많다. 특히 노약자와 어린이 등 교통약자의 보행이 많은 게 특징이다. 예상치 못한 상황도 많이 발생한다. 이삿짐을 싣고 내리는 차량이나 작업차량이 도로를 막거나 애완견이 뛰어나와 놀라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이면도로에서는 교통질서 의식이 사라진다. 조급한 마음에 30㎞ 이상 과속하고 앞지르기를 하는 경우도 있다.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에 방어운전만이 사고를 줄일 수 있는 길이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6-11-29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