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티오피아 6·25 참전용사 2482명 명비 제막 6·25전쟁 참전국인 에티오피아에 참전용사 2482명의 이름을 새긴 명비가 세워졌다. 에티오피아는 6·25전쟁 당시 3518명을 파병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1970년대 말 공산주의 정권이 들어서면서 참전 기록이 소실돼 정확한 명단을 확인하기 어려웠다. 국가보훈부는 지난해 7월부터 확인 작업을 거쳐 참전 기념비 옆에 참전용사 이름을 알파벳순으로 새긴 명비를 제작했다. 사진은 5일(현지시간)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서 열린 명비 제막식 모습. 왼쪽부터 테페라 느구세 에티오피아 6·25전쟁 참전용사협회 부회장, 강정애 보훈부 장관, 으스티파노스 겝레메스겔 참전용사협회장, 정강 주에티오피아 대사. 국가보훈부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에티오피아 6·25 참전용사 2482명 명비 제막
6·25전쟁 참전국인 에티오피아에 참전용사 2482명의 이름을 새긴 명비가 세워졌다. 에티오피아는 6·25전쟁 당시 3518명을 파병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1970년대 말 공산주의 정권이 들어서면서 참전 기록이 소실돼 정확한 명단을 확인하기 어려웠다. 국가보훈부는 지난해 7월부터 확인 작업을 거쳐 참전 기념비 옆에 참전용사 이름을 알파벳순으로 새긴 명비를 제작했다. 사진은 5일(현지시간)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서 열린 명비 제막식 모습. 왼쪽부터 테페라 느구세 에티오피아 6·25전쟁 참전용사협회 부회장, 강정애 보훈부 장관, 으스티파노스 겝레메스겔 참전용사협회장, 정강 주에티오피아 대사. 국가보훈부 제공
에티오피아 6·25 참전용사 2482명 명비 제막6·25전쟁 참전국인 에티오피아에 참전용사 2482명의 이름을 새긴 명비가 세워졌다. 에티오피아는 6·25전쟁 당시 3518명을 파병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1970년대 말 공산주의 정권이 들어서면서 참전 기록이 소실돼 정확한 명단을 확인하기 어려웠다. 국가보훈부는 지난해 7월부터 확인 작업을 거쳐 참전 기념비 옆에 참전용사 이름을 알파벳순으로 새긴 명비를 제작했다. 사진은 5일(현지시간)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서 열린 명비 제막식 모습. 왼쪽부터 테페라 느구세 에티오피아 6·25전쟁 참전용사협회 부회장, 강정애 보훈부 장관, 으스티파노스 겝레메스겔 참전용사협회장, 정강 주에티오피아 대사.
국가보훈부 제공
2024-08-07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