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의 시대… 숫자 함정에 속지 마라

팬데믹의 시대… 숫자 함정에 속지 마라

허백윤 기자
허백윤 기자
입력 2022-04-06 21:52
수정 2022-04-07 03: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통계의 오류 꼬집은 책 잇단 출간

이미지 확대
‘위험한 숫자들’(더퀘스트)
‘위험한 숫자들’(더퀘스트)
‘코로나19 확진자 28만 6294명, 사망·위중증 환자 감소.’

매일 쏟아지는 숫자의 홍수 속에서 세상을 더 정확하게 읽고 판단해야 한다고 경고하는 책들이 잇달아 나왔다.

네덜란드 고등연구소 전속 저널리스트이자 수학 전문기자인 사너 블라우는 ‘위험한 숫자들’(더퀘스트)을 통해 ‘수의 팬데믹’을 살아가는 독자들에게 경각심을 요구한다.

2020년 7월 도널드 트럼프 당시 미국 대통령은 “미국은 세계 어느 곳보다도 낮은 코로나19 사망률을 보이고 있다고 들었다”고 말했다. 이는 코로나19 총감염자 대비 사망자의 비율인 치명률을 언급한 것이었는데, 치명률은 특정 국가의 검사수에 따라 좌우되기 때문에 정확한 상황을 보여 준다고 할 수 없었다. 그 시기 총인구 대비 코로나19 사망률을 보면 전 세계가 평균 100만명당 84명, 유럽이 100만명당 264명, 미국은 100만명당 453명으로 트럼프의 주장과 정반대였다.
이미지 확대
‘숫자에 속지 않고 숫자 읽는 법’(김영사)
‘숫자에 속지 않고 숫자 읽는 법’(김영사)
지난해 영국에서 ‘올해의 과학작가’로 뽑힌 톰 치버스와 그의 사촌 데이비드 치버스 더럼대 경제학과 교수도 ‘숫자에 속지 않고 숫자 읽는 법’(김영사)으로 수많은 통계의 함정을 조목조목 꼬집었다. “코로나19 덕에 세계는 통계적 개념에 대해 허겁지겁 배우게 됐다”며 연일 확진자수와 치명률, 재생산지수 등 숫자에 따라 흔들리는 각국 정부와 대중의 현실을 설명한다. 영국 언론의 헤드라인과 기사에 인용된 각종 통계를 예로 들어 그 안에 숨겨진 불확실성 구간, 데이터 끼워 맞추기 등 오류들을 생생하게 지적한다.



2022-04-07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