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순에 글을 배웠습니다

팔순에 글을 배웠습니다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9-07-25 18:06
수정 2019-07-26 02: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팔순에 한글 공부를 시작했습니다/박재명 지음/카시오페아/268쪽/1만 5000원

이름 석 자도 쓰지 못했던 장금자 할머니. 뒤늦게 한글을 배운 뒤엔 그동안 꺼렸던 곳도 당당하게 간다. 은행 문 열고 들어가 ‘카드 만들어 달라’며 자신 있게 서명하는 할머니. 그 모습을 떠올리니 슬그머니 웃음이 난다. 그리고 안타까운 마음도 함께 든다.

‘팔순에 한글 공부를 시작했습니다’는 평균 나이 80세, 백발의 늦깎이 학생들 글 모음집이다. 저자인 박재명 교사가 지도하는 성인 문해 강좌에서 한글을 배운 어르신들이 쓴 시와 일기, 편지와 생활문, 자서전 등 72편을 모으고, 해설을 붙였다. 암울한 시대에 태어나, 동족상잔 비극 때문에, 자식 뒤치다꺼리 하느라 배움을 놓친 이들은 글을 모르는 게 마치 자신의 잘못인 양 평생 부끄러워하며 살았다. 하지만 한글을 배운 뒤 이제 은행 일도 혼자 보고 동사무소에 가서 서명도 자신 있게 한다. 노래방에 가서 노래도 부른다. 소설을 읽고 함께 문학기행을 떠나기도 한다. 못 배워 한스러웠던 자신과 화해하고, 따뜻한 글 한 편 건내지 못했던 자식들에게 미안하다며 편지도 써 본다. 글씨는 삐뚤빼뚤하지만, 누구의 글보다 아름답다. 앞으로도 자신 있게 사시길, 힘찬 응원을 보내 본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9-07-26 3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