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하 작가는 “요즘 현대인들은 모두 혼돈과 불안 속에서 잠든다”고 했다. 불안의 골자는 아마도 ‘어떻게 살아야 할까’에 대한 고민일 테다. 그 비밀을 들려주는 이들의 초상이 렌즈에 맺혔다. 미국 사진작가 앤드루 조지는 2년간 죽음을 앞둔 이들이 머무는 호스피스 병동을 찾아가 삶과 죽음을 깨달은 이들의 투명한 눈빛과 담담한 성찰을 카메라에 담았다. 사진들은 미국, 유럽에서 열린 사진전에서 7만명의 관람객에게 여운이 긴 파동을 일으키기도 했다. 영국 작가 알랭 드 보통의 말은 우리가 아귀다툼하고 있는 모든 것이 생의 마지막 순간 얼마나 부질없는 것인지 일러 준다. “이 사람들이 마지막 순간까지 사랑하며 아끼는 것은, 경쟁 사회에서 쟁취한 사회적 지위 같은 것이 아니다. (여기 있는 사진들은) 죽음이 삶의 한쪽에 존재한다는 것을 깨닫고, 그동안 무심했던 것들에 감사하며 삶의 가치를 재정비하게 해 준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7-09-09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