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톡톡] 확장되는 eBook 시장…전자출판 전문가 되려면?

[직업톡톡] 확장되는 eBook 시장…전자출판 전문가 되려면?

입력 2016-06-08 15:44
수정 2016-06-08 15: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확장되는 eBook 시장…전자출판 전문가 되려면?. 서울시중부여성발전센터 제공.
확장되는 eBook 시장…전자출판 전문가 되려면?. 서울시중부여성발전센터 제공.
로맨스, 무협, SF 등의 기존의 장르 중심으로 움직이던 eBook 콘텐츠 시장이 종이책 베스트셀러 및 문학, 자기계발, 인문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고 있다. 또한 하나의 기기에 많은 책을 넣을 수 있고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볼 수 있다는 장점과 높은 스마트폰 보급률로 인해 전자출판 시장 규모도 점차 커지는 추세다.

국내 출판업계 관계자들은 전자출판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콘텐츠 강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또한 디지털 독서문화의 확장으로 우수 콘텐츠 전자책 제작 지원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역량을 갖춘 전자출판 전문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화된 커리큘럼을 바탕으로 전자출판 전문가를 육성하는 교육과정도 곳곳에 생기고 있다. 서울시중부여성발전센터가 고용노동부와 마포구의 교육비를 전액 지원받아 무료 직업교육으로 진행하는 전자출판 전문가 양성과정도 이들 교육과정 중 하나다.

전자출판 전문가 양성과정 수강 후에는 전자책 1인 출판을 비롯한 전자책 콘텐츠의 기획 개발 및 전자책 디자인 편집 등 전자출판 관련 업종으로 취업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갖추게 된다. 강의는 전자출판의 개요를 시작으로 ▲전자출판 기획 ▲콘텐츠 기획 ▲저작권의 이해 등 전자출판 전문가로서 필요한 전문 지식 습득이 가능하다.

교육기간은 내달 11일부터 9월 29일까지이며 교육시간은 매주 월~금요일 오후 2시부터 6시까지 진행된다. 수강신청은 중부여성발전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이루어지며 서류전형과 면접을 통해 총 22명의 수강생을 선정한다.

수강신청에 앞서 중부여성발전센터가 준비한 전자출판 전문가 양성과정 교육설명회가 오는 14일 오전 10시 마포구청 4층에서 열릴 예정이다.


신동원 서울시의원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 백사마을 주민 불이익 해소 위해 공정 보상 나서야”

서울특별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신동원 의원(노원1·국민의힘)은 지난 28일 제332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시정질문에서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공사) 황상하 사장을 상대로 백사마을 주택재정비사업 과정에서 드러난 이주대책·보상 문제를 집중 추궁하며, “주민 불이익을 신속히 해소하고 공정한 보상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신 의원은 “백사마을의 무허가주책 가옥주들은 수십 년간 해당 지역에 터를 잡고 살아온 고령층 및 저소득층 주민들이 대부분이다. 이들은 재개발 사업 앞에서 한없이 취약해지는 사회적 안전망의 사각지대에 놓인 대표적인 주거 약자”라고 강조했다. 이어 “백사마을은 주거지 보전지역 해제로 세대가 741세대 늘어나 사업성이 개선됐음에도, 무허가주택 가옥주들에 대한 입주권 기준일을 1981년으로 제한해 주민 불이익이 계속되고 있다. 타 재개발 지구처럼 형평성 있는 보상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 의원은 SH공사가 시행한 타 재개발 지구에서 임대아파트 입주권을 부여했던 사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백사마을 주민에게는 동일한 혜택을 적용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며 “백사마을 주민만 차별을 받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나며, 이는 명백한 불공정 사례”
thumbnail - 신동원 서울시의원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 백사마을 주민 불이익 해소 위해 공정 보상 나서야”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